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당
분배량
상
부담액
역할
책임
구전
뉴스
"
몫
"(으)로 총 45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 사업화 수익의 40%는 연구자의
몫
”
2014.09.21
“연구자의 특허와 지식재산권을 존중해 사업화를 통해 얻은 수익의 40% 정도를 연구자의
몫
으로 돌린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과학기술인이 사업화를 추진하는 데 큰 동기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칭화홀딩스의 자산은 무려 1000억 위안(약 17조 원). 칭화홀딩스가 출자한 기업 중 20곳은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우표 속 세상, 사라져가는 과학기술
2014.09.15
당사국총회 기념우표가 발행되며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 행사를 알리는 데 한
몫
했다. 우표만 보더라도 시사 상식과 시대를 읽는 눈을 얻을 수 있다는 것. 저명한 우표수집가인 프랭클린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은 “우표에서 배운 지식이 학교에서 배운 지식보다 더 많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 ...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미국 연구진이 머리 왼쪽 뒷부분을 자기장으로 자극하면 24시간 동안 기억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미국 노스웨스턴대 제공 새 학기를 ... “이제는 뇌의 신비를 풀기 위해 어느 부위를 어떻게 자극할지에 대한 연구가 과학자의
몫
으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 ...
자신이 가장 똑똑한 사람일 필요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07.27
입체구조를 밝혀낸 인물이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DNA의 구조를 밝혀내는 것 또한 그의
몫
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저자는 라이너스 폴링이 DNA 구조를 밝히는 영예의 주인공이 되지 못한 까닭을 “명성으로 인한 오만함” 때문으로 해석했다. 로절린드 프랭클린과 모리스 윌킨스와 한 연구팀을 ... ...
“당신은 동요하고 있습니까?”
과학동아
l
2014.07.27
광활하다고밖에 표현할 길이 없는 열린 결말이다. 감독은 너무나 많은 부분을 관객의
몫
으로 남겨놓았다. 이 때문에 이 영화에 대한 관객의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영화는 SF영화다. 그럴 듯한 신기술이나 미래 도시의 모습을 그리지는 않았지만 엄연히 SF다. 지극히 ... ...
벼락을 붙잡을 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4.07.13
벼락은 눈에 보기에는 한 줄기지만 나무뿌리처럼 수많은 갈래가 함께 내리친다. - 위키피디아 제공 최근 대기가 불안정해 지면서 벼락이 자주 발생한다. 이달 8일에는 태풍 ‘너구리’의 영향으로 내리친 벼락이 울산석유화학공단 내 14개 업체에 정전을 일으켜 수백억 원의 피해가 발생하 ... ...
신약계의 ‘코펜하겐 학파’ 꿈꾼다
과학동아
l
2014.06.17
살롱의 ‘안주인’ 역할을 하는 이승주 사노피 상무가 대전 LG생명과학 출신인 것도 한
몫
했다. “대전에는 예로부터 신약 관련 바이오벤처가 많았어요. 사노피가 대전을 택한 이유기도 하죠. 이들과의 교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저는 살롱처럼 편하게 와서 논의하고 식사하는 ... ...
아빠 짚신벌레가 아들만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2014.05.25
연구비를 끌어가다보니 아직 인정 받을 기회를 얻지 못한 신진연구자들에게 돌아갈
몫
이 줄어든다는 지적이다. 시에 교수는 “불평등을 전제로 한 인센티브 제도가 과학발전을 앞당기는 효과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신진 연구자 발굴을 더디게 하는 단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 ...
이번엔 '진짜' 제2의 지구?
과학동아
l
2014.04.20
사이언스 제공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찍은 사진일까. 이번 주 ‘사이언스’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한 행성인 ‘케플러-186f’를 표지에 담았다. 케플러-186f가 큰 화제를 모은 이유는 지구와 ‘닮은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 물이 흐르고 생명체가 살고 ... ...
[기자의 눈]특허도 맘대로 못내는데 공대 혁신?
과학동아
l
2014.04.13
연구비를 따오면 대학은 15~29%를 간접비로 떼어간다. 간접비의 절반은 산학협력단의
몫
인데 정작 특허에 책정된 예산은 30억 원에 불과하다. 국내 특허를 내려면 200만 원, 해외 특허는 2000만 원씩 들어가는데, 서울대에 공대 교수만 320명인 것을 고려하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서울대의 한해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