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뉴스
"
부분
"(으)로 총 6,070건 검색되었습니다.
설탕 대신 카카오 껍질…건강하고 친환경적인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이렇게 초콜릿을 만드는 과정에서 카카오 열매의 껍질이나 카카오빈을 덮고 있는 과육
부분
은 버려진다. 연구팀은 버려지는 카카오 열매 폐기물에 주목했다. 껍질이나 과육에 수분을 첨가해 만든 겔 제형의 농축액이 단맛을 낸 것이다. 분석 결과 이 겔은 높은 섬유질 함량은 높으면서도 ... ...
中 달 탐사선 창어 6호, 인류 2번째 달 뒷면 안착…세계 최초 샘플 채취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6번째 달 탐사선인 창어 6호는 궤도선, 착륙선, 상승선, 재진입모듈 등 크게 네
부분
으로 구성됐다. 창어 6호는 앞서 지난달 3일 세계 최초로 달 뒷면 토양과 암석 등 샘플 채취를 목표로 발사됐다. 지난달 8일에는 베이징 우주비행통제센터의 통제 아래 달 근접 제동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하고 이를 이용하는 기술을 내시경술이라 한다. 내부를 들여다보기 위해 기계 끝
부분
에 아주 작은 카메라를 부착하고 관은 휘어질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관으로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겠다는 아이디어를 처음 실천에 옮긴 이는 독일의 보지니(Philipp Bozzini)였다. 그는 1806년에 관과 거울 등을 이용하여 ... ...
벌새 뇌 속엔 3D 지도…빠르게 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쏘면서 뇌의 어떤
부분
이 활성화되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날개 앞쪽과 다리 가장자리
부분
깃털에 공기 압력이 가해졌을 때 특정한 신경세포 군집이 활발히 활동하면서 뇌의 신호를 보내는 모습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특히 날개 가장자리에 가해진 자극에 반응하는 신경세포 군집이 정교한 ... ...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충돌체의 핵은 명왕성의 핵 쪽으로 합쳐지며 지각 아래 밀도가 높은 물질이 집중된
부분
인 '마스콘'을 형성한다. 연구팀은 자전하는 명왕성에서 스푸트니크 평원이 적도 부근에 위치할 수 있던 이유가 바로 마스콘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마스콘이 형성되지 않았더라면 충돌 후 지형이 함몰돼 질량이 ... ...
[극한호우, 우리]⑤ 한국, 1+1=3이 되는 길 찾아야…반지하 거주민 대책도 필요(끝)
2024.05.31
처리 용량이 한계에 다다르게 된다. 그린 인프라는 그레이 인프라로 들어갈 빗물의 일
부분
을 분담해 처리한다. 총 유출량을 줄여주는 빗물 저류 기능을 갖춘 그린 인프라가 대표적 예시다. 빗물 저류 기능이 없는 그린 인프라의 경우에도 지체시간이 길다 보니 빗물을 잠시 잡아 뒀다가 그레이 ... ...
[푸드테크 뜬다]① 배양육부터 주방로봇까지…미래 먹거리 좌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친환경 포장 등이 있다. 푸드테크 유형별로 이미 상용화됐거나 기술이 상당
부분
고도화된 영역도 있지만 아직 현실화되진 않았지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영역, 해외 대비 한국에서는 연구개발(R&D) 투자와 산업 육성·지원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영역 등이 있다. 한국은 연내 ... ...
의대 정원 60%는 '지역인재'…"지역의사 늘 것" vs “지방유학만 늘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60%를 넘긴 대학은 26곳 중 21곳이다. 정부는 지역인재 전형이 지방 의사 부족 문제를
부분
적으로 해결하는 수단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 출신 학생들은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의대를 온 학생들보다 지역에 정주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수도권으로의 이탈을 일부 막을 수 있을 것이란 ... ...
자율주행차 돌발사고 줄일까…과학자들 '하이브리드 시각 시스템'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자율주행 등 운전 보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카메라는 대
부분
색상이 모두 구현되는 풀컬러 카메라다. 일반적으로 초당 30~50프레임을 캡처해 보행자나 다른 자동차 등을 인식한다. 두 프레임 사이에 발생하는 순간적인 일을 파악하려면 프레임을 높여야 하지만 실시간 ... ...
강유전체 분극 분포 최초 규명…초고밀도 메모리 소자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규명한 강유전체 나노입자의 3차원 분극 분포. 3차원 소용돌이(가운데 그림)의 중심
부분
을 얇게 잘라낸 2차원 단면(오른쪽)의 파란 화살표를 통해 소용돌이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KAIST 제공 연구팀은 강유전체인 바륨-티타늄 산화물(BaTiO3) 나노입자 내부 원자들의 위치를 3차원으로 정확히 측정했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