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뉴스
"
숙주
"(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 주사와 줄기세포 성형 어떤 점이 다를까
2016.11.20
AMI’, 무릎연골에 쓰이는 ‘카티스템’, 크론병에 쓰이는 ‘큐피스템’, 이식편대
숙주
병에 쓰이는 ‘프로키말’ 등 몇 가지 치료제만 합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규제가 약하다. 임상1상에서 줄기세포 치료제의 안전성만 확보되면 2상을 한다는 조건으로 사용허가가 난다. ... ...
식중독 균 경고하는 파란 빛
과학동아
l
2016.11.11
효소인 나노루크 루시페라아제를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에 넣었다. 박테리오파지가
숙주
의 몸속에서 에너지를 생산해 이 효소가 활성화되면 파란빛을 띤다. 음식에 있는 대장균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셈이다. 지금까지 음식이 오염됐는지 알아보려면 대장균이 완전히 번식해 음식물에 변화가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폭발적인 설사와 구토로 환자의 분비물이 주변 물과 음식에 들어가면 콜라레균이 새로운
숙주
를 찾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콜레라의 실체를 몰랐던, 상하수도 시설이 미비했던 시절 콜레라가 발생하면 걷잡을 수 없이 번지며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은 이유다. ● O형은 독소 분자에 친화력 ... ...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09.02
각각
숙주
에서 진화해왔다는 뜻이었다. - 과학동아 제공 대부분의 장내미생물들은
숙주
종이 수만 세대를 거치는 동안 다른 종으로 옮겨가지 않고 ‘의리’를 지켰다. 그 결과 실제로 유인원이 분화하는 시기(유전자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통해서 예측된 것)와 이번 연구에서 밝힌 각각의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었다. 즉 대장에 살고 있는 미생물들이 독소를 생성해
숙주
에게 질병을 일으키고 노화를 가속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런데 조류의 경우 대장이 거의 퇴화된 상태라 장내미생물도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류는 오래 산다는 것이다. 메치니코프는 이 발견을 ... ...
매미 울음소리 퍼지면, 파리의 사랑도 깊어진다
2016.07.05
가 암컷이었다. 연구진은 파리가 다른 생물체의 몸 속에 알을 낳는 점으로 미뤄 매미를
숙주
로 생각했을 걸로 추추정했지만 임신 상태가 아닌 암컷도 소리에 유인됐다. 브라이언 교수는 “소리가 나는 곳에 암컷이 많다는 점을 파악한 수컷 파리들도 소리에 이끌려 모여드는 경향을 ... ...
[미토콘드리아의 비밀]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07.03
직계조상인 리케차 박테리아는
숙주
의 에너지를 빨아먹는 기생성 세포다.
숙주
세포의 방어 작용을 이겨내고 스스로 자가분열을 할 수 있는 아주 드문 세균이다. 20억 년 전 이 둘이 처음 만났을 때는 초기 진핵세포가 스스로를 지키려는 면역 반응과 이를 미꾸라지처럼 피해나가려는 리케차 ... ...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16.06.01
아미노산 외에 당 성분이 단백질에 추가로 붙는 것을 의미하는데, 바이러스는 이 부위를
숙주
세포에 결합하는 닻으로 활용하곤 한다. 유괴범이 달콤한 사탕으로 순진한 아이들을 유인하는 수법과 비슷하다. 네이처에 연구 결과를 발표한 싱가포르 듀크-싱가포르 의학전문대학원 연구팀은 ... ...
식이섬유, 무조건 많이 먹을수록 좋다?
동아일보
l
2016.05.23
아픔을 남긴다. 그러곤 언제 그랬느냐는 듯 다시 나타난다. 그를 떼어내려고 배추김치와
숙주
나물을 실컷 먹어보기도 했지만 그럴수록 그는 더 집요하고 강력해졌다. 그의 이름은 변비. 정 씨는 무엇이 잘못됐는지 가만히 곱씹어본다. 》 ○ 식이섬유, 무작정 먹으면 오히려 변비 식이섬유를 둘러싼 ... ...
박테리오파지는
숙주
에 어떻게 침투하나
2016.05.22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레이만 교수는 “T4 박테리오파지의
숙주
침투 방식은 한 가지라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박테리오파지뿐만 아니라 꼬리 구조를 활용한 다양한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