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간
스페이스
장소
여유
빈틈
자유
기회
뉴스
"
여지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최대 규모다. - eLife 제공 이번 호모 날레디의 경우는 호모속 신종으로 보는데 반론의
여지
가 없을 정도로 뒷받침하는 증거가 굉장하다. 먼저 화석의 규모로 뼈와 이빨을 합쳐 모두 1550점에 이르고 최소한 15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통상 두개골 파편이나 턱뼈, 팔다리뼈나 손발뼈 조각들만 찾아도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있어서(뒤에 언급한다) 빵효모로 쓰겠다. 그럼에도 그의 주장은 학계에서 받아들
여지
지 않았고, 20년이 지나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가 발효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나서야 사태가 바뀌기 시작했다. 파스퇴르는 1866년 ‘와인연구’라는 책을 출간했는데, 학계에서는 이 시점을 기준으로 ... ...
[즐기자! 사이언스바캉스] 과학동아가 만든 고품격 과학 강연회
2015.07.31
많이 사용되고 있다”며 “크리스퍼는 유전병 치료나 멸종 동물 복원 등에 활용될
여지
가 많다”고 말했다. ● 8월 하순 강연 동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제공 행사에 참석한 경기 평택고 2학년 박도균 군은 “아직 고등학생이지만 가상현실 분야에서 창업을 하고 싶어서 크라우드 펀딩(소액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인체가 오랜 진화를 거쳐 선택된 가장 효율적인 구조라는 상식과는 달리 여전히 개선의
여지
가 있는 불완전한 상태임을 보여줬다. 또 무동력외골격은 보행에 불편을 겪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다. 효율을 7% 개선한 게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이 차이로 걸을 수 있느냐 없느냐가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물론 기름유출로 큰 피해를 본 생물들도 많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큰돌고래로 논란의
여지
는 있지만 기름유출로 상황이 악화된 것만은 분명하다. 가끔 해외뉴스에 나오듯이 고래들이 뭍으로 올라와 죽는 일이 벌어지는데 이 지역에서도 최근 수년 사이 1250마리가 넘는 돌고래들이 이렇게 죽었다. ... ...
뽀샵으로 위조? 딱 걸렸어!
2015.06.12
맡기고 강을 따라 내려오며 래프팅을 즐기는 사람도 사진을 복사해 합성했다는 사실이
여지
없이 드러난다. 이 교수팀은 디지털 이미지를 조작할 경우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사진을 구성하는 작은 점(픽셀)의 통계적 특성이 변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를 활용해 사진의 일부분만 복사해 붙여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디스플레이 기술 변화가 가져온 풍경
2015.05.25
세상이라도 열리지 않을까. 물론 현재 기술 수준에서 상상해 본 이런 빈약한 예측은
여지
없이 깨질 확률이 높다. 기술이 산업과 만나서 만들어 내는 새로운 사회를 100% 예측하는 건 어려운 일이니 말이다. 그 편린이라도 알 수 있는 사람을 세상 사람들은 ‘스티브 잡스와 같은 천재’라고 부른다.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로봇 반란 막으려면
2015.05.23
안 되기 때문이다. 또 고장 난 로봇을 인간만 수리할 수 있다면 로봇이 반란을 일으킬
여지
도 사라진다.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로봇은 인류에게 친구이자 동반자, 조력자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면서 “로봇과 인류의 공생을 모색한 결과 이런 원칙이 나타난 것”이라고 말했다 ... ...
당신이 배고픈 진짜 이유, 쿠키와 흰 빵 때문에?
동아닷컴
l
2015.05.20
유발한다. 이 식품들은 혈당 수치를 높여 적정량을 섭취해도 배고픔을 느끼게 할
여지
가 있다. 국제 비만학회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설탕이 많이 들어간 고지방 식품은 뇌의 화학 작용을 방해해 과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정제식품보다는 유기농의 무첨가 식품 섭취가 과식 예방법으로 추천된다. ... ...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
과학동아
l
2015.04.25
움직일 수 있다. 침습형이 훨씬 자유도가 높다. 적과 싸워야 하는 에바는 선택의
여지
없이 무조건 침습형이다. 헌데 14살짜리 아이들의 뇌를 열고 센서를 부착하는 일은 못내 마음에 걸린다. 아무리 지구를 지키기 위해서라지만…, 좀 더 안전한 방법은 없을까. ● LCL 속에서 숨을 쉬다 액체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