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염색체"(으)로 총 45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성의 상징, Y 염색체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4.10.31
- 특히 이 유전자가 X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와 쌍을 이룬다는 점에서 Y 염색체가 X 염색체와 한 쌍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4월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볼 수 있다. http://science.dongascience.com/articleviews/special-view?acIdx=13513&acCode=2&year=2014 ... ...
- 이산화탄소를 에너지로 사용한다고?동아사이언스 l2014.10.29
- 인체감응솔루션’, 이상권 인하대 교수의 '자동차 소리와 인간의 감성', 요병하 교수의 '염색체 응축은 왜 그리고 어떻게 일어나는가?', 조선호 서울대 교수의 '생활 속의 역학과 설계' 강연이 각각 서울 정독도서관, 부산 궁리마루, 대전교육과학연구원, 광주교육과학연구원에서 열린다. 자세한 ... ...
- 과학자들 “설탕 첨가된 청량음료 자주 섭취땐 DNA 노화 촉진”동아일보 l2014.10.21
- DNA를 분석해 '말단소립(telomeres)'이 상대적으로 더 짧다는 것을 발견했다. 말단소립은 염색체 말단에 위치하며 위험에서 DNA를 보호하는 건강의 척도다. 사람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말단소립이 점점 더 짧아지면서 DNA가 손상돼 알츠하이머, 당뇨병, 심장병 같은 질환의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 ...
- “10년내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2014.10.10
- 환자에게만 발견된 것으로 초기 간암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백융기 연세대 교수가 염색체 기반 인간프로테옴 연구가 질병 진단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 마드리드=이재웅 기자 ilju2@donga.com 제공 ●세계 단백질 연구, 한국이 주도 스페인에서 열린 HUPO에서는 한국인 과학자의 ... ...
- 위암 종류 4가지, 새로운 분류법 찾았다과학동아 l2014.07.23
-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염색체 불안전형’으로 이 유형의 암세포에서는 유전자나 염색체 중 빠진 부분이 있는 점이 특징이다. 또 ‘MSI 불안정형’이 전체 위암 중 20%, 에스테인 바 바이러스(EBV)형이 10%를 차지했다. MSI란 친자감별에 주로 사용되는 ‘미세부수체’를 말하는데, 일부 위암 ... ...
- [표지로 읽는 과학] 벼 해독 10년 만에 ‘진짜’ 밀 게놈 해독과학동아 l2014.07.20
- 연구 결과, 밀은 같은 유전자를 몇 개씩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의 3B 염색체에 있는 대부분의 유전자가 두 세 번 중복돼 존재했다. 사람으로 치면 했던 말을 또 하고, 또 하는 잔소리꾼에 비유할 수 있는 셈이다. 유전자가 중복되지 않은 경우는 4%에 불과했다. 반면 옥수수는 41%의 ...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2014.06.30
- 있다고 한다. ●유전자 추가 vs. 유전자 수리 학술지 ‘네이처’ 6월 12일자에는 X염색체상의 유전자 변이로 인한 중증복합성면역결핍증(SCID-X1)을 치료할 수 있는 유전자치료법이 소개됐다. 사실 이 질환에 대한 유전자치료법은 이미 2000년대 성공이 보고됐지만 이번엔 그 방법이 다르다. 즉 ... ...
- 고장난 신경세포 복구 단백질 찾았다과학동아 l2014.06.25
-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실험에 착수했다. 그 결과 ATM은 신경세포에서 텔로미어(염색체 말단)의 한쪽 나선의 손상을 인식하는 단백질인 ‘ATR’로부터 신호를 받고, 신경세포의 사멸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신경세포가 일부 손상을 입으면 더 이상 큰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쪽 끝을 ... ...
- 피 안 멈추는 혈우병, iPS세포로 해결과학동아 l2014.06.15
- 도입해 혈우병 질환 모델 세포를 만들었다. 이후 이 모델에 탈렌을 도입해 뒤집어진 8번 염색체를 원상 복구했고, 8번 유전자의 혈액응고인자가 정상적으로 발현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김동욱 교수와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인 김진수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해 혈우병을 치료할 ... ...
- 엑스맨은 돌연변이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4.06.08
- 개(2n)인데 21번 염색체가 2개가 아닌 3개인 경우에 나타나는 다운 증후군이나 여성(XX)의 성염색체에서 X가 하나 부족한 터너 증후군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돌연변이는 개체에게 해로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주 드물게 생존에 유리한 돌연변이가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극중 급진파 ... ...
이전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