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누이
언니
누나
여동생
형제
동기
sister
뉴스
"
자매
"(으)로 총 54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손상 회복시키는 ‘착한’ 단백질 발견
2014.09.24
알려진 ‘AKAP12’가 뇌 손상 뒤 일어나는 뇌수막 회복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네이처’
자매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7일자에 발표했다. 뇌수막은 외부로부터 뇌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 구조물이다. 뇌가 외부 충격을 받을 경우 뇌수막 세포가 이동해 손상된 뇌수막을 ... ...
운전하면서 전기 만든다
2014.09.24
달릴 때 지붕에 흐르는 바람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발전기를 개발해 ‘네이처’의
자매
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3일자에 발표했다. 기존 풍력발전기는 바람이 프로펠러를 돌리는 힘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방식인데 부피가 크고 설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바람에 ... ...
10년 동안 변하지 않는 어린이들의 사랑, 어린이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15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엽서 1장에 한 명만 참석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형제,
자매
가 싸우는 등 파티에 참여한 어린이들은 저마다의 사연이 있었다. 곽기명(서울 을지초 3)군은 “어린이과학동아를 누나와 함께 보기 때문에 한 명이 포기해야 했다. 이번에 나에게 양보해준 누나를 위해 내년에는 ... ...
전자섬유, 세탁기 넣고 돌려도 OK
2014.09.05
장경인 박사가 이끈 국제 공동 연구진은 일반 천에 초박막 전자센서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세탁이 가능한 전자섬유를 개발했다. - 미국 일리노 ... 위한 전자운동복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일자에 실렸다. ... ...
유전자 완전히 같은데 ‘노이즈’ 생기는 이유
2014.09.02
DNA의 이중 나선 구조. - istockphoto 제공 흔히 쌍둥이에게 유전질환이 똑같이 나타나지 않으면 환경이나 생활습관의 차이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 ... 생명 현상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일자에 실렸다 ... ...
단점 투성이 유기반도체의 화려한 변신
2014.09.01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8월 26일자에 실렸다. 이번 연구는 조 교수가 단장을 맡고 있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 ‘나노기반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 ...
전기 대신 열로 작동하는 차세대 메모리소자
2014.08.27
국내 연구진이 초고속 레이저로 나노자석 'FM1'에 열을 가해 전류를 발생시켰더니 FM2로 흘러가 스핀의 방향을 회전시키는 데 성공했다. - ... 차세대 초고속 메모리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10일자에 실렸다.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교수팀은 유리 투명전극 기술을 발광다이오드(LED)에 적용하는 데 성공하고 ‘네이처’
자매
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7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전극을 위아래로 배치한 대면적 수직형 LED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주입하고 분산시키는 기술이 관건이었으나 기존 전류주입 ... ...
원자층 쌓는 순서 조작해 신소재 뚝딱
2014.08.18
연구진은 스트론튬 티타늄 산화물의 원자층을 쌓는 과정을 방사광 X선으로 관측한 결과, 일부 원자층의 순서가 뒤바뀌는 '층간 자발적 재배열 ... 다른 물질을 합성하는 데도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
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온라인판 3일자에 실렸다. ... ...
심부전증 원인 유전자 찾았다
2014.08.17
의과대 교수팀은 확장성 심근병증을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찾아내고 ‘셀’
자매
지 ‘셀 리포트’ 1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NCOA6라는 특정 유전자를 지목했다. 먼저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심장에서만 NCOA6 유전자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NCOA6 유전자를 전신에서 제거하는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