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896건 검색되었습니다.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가벼운 블랙홀일까' 중력파로 미지의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압축되는 셈이다. 현재 관측을 통해 확인된 가장 무거운 중성자별은 지난해 말 ‘네이처
천문학
’을 통해 밝혀진 약 4600광년 거리의 중성자별로 태양 질량의 약 2.14배였다. 김 교수에 따르면, 현재까지 우리은하에서 발견된 중성자별은 약 2300개에 이르지만, 대부분 태양 질량의 1.3배 남짓으로 ... ...
초신성 폭발 휩쓸리지 않은 별 잔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원형 그대로 남은 별의 잔재를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1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카시오페이아 A(Cas A) 초신성 잔해에서 별의 잔재를 발견했다. 지구로부터 1만 1000광년 떨어진 Cas A는 우리 은하의 가장 젊은 초신성 잔해 중 하나다. ... ...
우주 미스터리 풀어줄 157일 주기 '빠른 전파 폭발'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9
FRB 121102'를 4년여에 걸쳐 장기 관측한 끝에 157일마다 반복되는 주기성을 확인했다고 '왕립
천문학
회 월보'(MNRSS)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파 폭발이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일어나는 것은 대형 별이나 중성자별, 블랙홀 등의 궤도 운동과 연관돼 있다는 점을 의미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지난 ... ...
2015년 메르스 피해액 10조8천억…"코로나19는 가늠 못 할 수준"
연합뉴스
l
2020.06.07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피해액은 가늠하기 어려운
천문학
적 수준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메르스는 3개월간의 단기 충격이었고 확진자 186명, 사망자 38명이 나왔으나, 코로나19는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5∼6개월 만에 누적 확진자가 1만2천명에 육박하고 ... ...
[잠깐과학] ‘빛 공해 금지법’ 가장 먼저 도입한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6.06
88년에는 어두운 밤하늘을 지키기 위해 ‘국제 밤하늘협회’를 설립했다. 하지만 체코의
천문학
자들은 빛 공해를 막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은 법의 규제라고 생각하고, 의회를 통해 열심히 청원 활동을 벌였다. 2002년 6월 1일 체코는 빛 공해를 막는 법을 가장 먼저 도입한 최초의 나라가 ... ...
최초 은하 탄생, 25억 년 빨랐을 수도?
과학동아
l
2020.06.04
거대 원반 은하가 만들어졌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마르셀 닐만 독일 막스플랑크
천문학
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은하의 우주 가스가 저온 상태에서 회전하며 은하를 형성하는 ‘차가운 기체 유입(cold-mode accretion)’ 현상을 관찰해 이런 주장을 뒷받침했다. 연구팀은 미국 ... ...
'작은 것이 맵다'…구경 6㎝ 망원경으로 41광년 밖 행성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3
면서 "이번 논문은 아스테리아 미션의 동기가 된 개념, 즉 소형 우주선도 천체물리학과
천문학
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정당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NASA의 천체면 통과 외계행성 탐색 위성인 '테스'(TESS)의 모든 능력을 큐브샛에 담아내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대형 ... ...
"태양, 은하충돌로 태어났을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이 과정에서 탄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 결과를
천문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에 이달 25일 공개했다.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는 우리은하 질량의 1만 분의 1 정도로 작은 소형 위성은하다.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7만 년 정도 가야 하는 거리에 있다. 약 70억~80억 년 전 부터 ... ...
초대질량블랙홀 뿜어내는 강력한 불꽃으로 먼 우주 거리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우주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는 천체까지 거리를 알아내는 것이다. 다른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및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해당 논문은 영국 왕립
천문학
회지 4월호에 소개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 ...
약 520광년 밖 젊은 별 주변서 행성 형성 첫 직접 증거 포착
연합뉴스
l
2020.05.21
배열인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집합체'(ALMA)를 통해 처음으로 제시됐다.
천문학
자들은 당시 ALMA 이미지에서 별 주변의 원반 안쪽에서 두 개의 나선팔을 찾아냈다. 보칼레티 박사 연구팀은 VLT 스피어 이미지를 통해 두 개의 나선팔 존재를 확인하는데 더해 서로 교차하고 있는 것까지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