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블루
blue
블루우
뉴스
"
파란색
"(으)로 총 624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09.23
학술지 ‘사이언스’에 “(이번에 개발된 파란 국화는)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가장 훌륭한
파란색
”이라고 평가했다. 노다 나오노부 / NARO 제공 ● 표피세포 모양 따라서도 꽃 색 달라져 과학자들이 인위적으로 푸른색을 만들어내기까지 무려 20여 년이 걸렸다. 그 이유는 꽃잎의 색을 결정하는 ... ...
칸아카데미로 수학 학습 부진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3
한눈에 볼 수 있는 그래프가 제공된다. 화면에 보이는 막대그래프에서 오른쪽 짙은
파란색
으로 갈수록 학습이 완료된 학생, 왼쪽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해당 단원을 어려워하는 학생의 비율을 나타낸다. 회색은 아직 진도를 나가지 않은 학생의 비율을 뜻한다. 학생들에게 전체 학생들의 진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작동하는지 시험해보기 위해 나팔꽃의 꽃잎색 관련 유전자를 택했다. 즉 자주색에서
파란색
에 이르는 꽃잎의 색소인 안토시아닌을 합성하는데 관여하는 효소들 가운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DFR-B라는 효소의 유전자를 크리스퍼/캐스9으로 망가뜨리는데 성공한다면 색소를 못 만들어 흰 꽃이 필 ... ...
평화와 사색, 영국의 밤하늘
팝뉴스
l
2017.08.21
제목은 “저 멀리에는 무엇이 있을까?” 하늘에 별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만 여전히
파란색
이다. 두 그루의 나무가 전경에 서 있다. 해외 사진 공유 사이트에서 주목받는 이 사진은 왠지 쓸쓸한 느낌이라는 평가다. 단순한 구도이지만 복잡한 심경과 여러 생각을 자아내는 힘을 가졌다는 평도 ... ...
목숨 위협하는 전이성 암 환자 500명 유전체 해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20
‘네이처’ 표지는 ‘암의 청사진’이 장식했다. 인체를 투시한 듯한 그림에는 전립선암(
파란색
)과 유방암(핑크색), 폐암(녹색), 대장암(주황색)의 발병 부위와 전이 부위가 나타나 있다. 특정 암이 다른 부위로 전이된 암 환자 500명의 DNA와 RNA 염기서열을 해독한 결과다. 각 암이 어떻게 다른 부위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특정 장내미생물이 멜라민을 대사해 시아누르산으로 바꾸고 신장에서 멜라민(
파란색
)과 시아누르산(빨간색)이 만나 불용성 결정이 생겼다. - 위키피디아 제공 ● 멜라민 분유 파동의 배후에는… 기억하는 독자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2008년 중국에서는 소위 ‘멜라민 분유’를 먹은 아기 30만 명이 ... ...
지퍼가 열리니, 부도체 물질이 반도체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6
9도의 온도에서 폴리레더린 수용액을 초음파로 처리하자, 20초 만에 무색이었던 수용액이
파란색
으로 변했다. 초음파를 계속 가할수록 색은 점점 진해져 120분 뒤에서 완전히 검은색으로 변했다. 이때 사다리의 발판은 모두 끊어져 선 형태의 고분자가 제작된다. 최종적으로 부도체의 특성을 갖던 ... ...
파리협정에서 체결한 기후변화 목표치 지켜질 확률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배출량과 감축 목표값. 그래프에서 검은색 점은 2015년 기준 나라별 탄소 배출량이며,
파란색
점은 2030년까지 각 나라가 내세운 감축 목표치이다. 중국과 인도의 경우 2015년 탄소 배출 측정치가 없어 표시되지 않았다. 연한 빨간색 부분은 신뢰도 95%일때, 진한 빨간색 부분은 신뢰도 90%일때의 CO2 배출 ... ...
지구와 최고급 아파트? ‘화제의 착시 사진들’
팝뉴스
l
2017.07.14
잘못(?)이 없다. 특정한 기대를 갖도록 훈련된 인간들이 착시의 원인이다. 원형의
파란색
물체를 보면 반사적으로 ‘우주에서 촬영한 지구’라고 지레짐작하게 된 우리들이 문제라면 문제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일반 제1형 초신성의 경우 니켈56이 금방 붕괴돼 양전자(빨간색)가 폭발 반경 내부의 전자(
파란색
)와 만나 소멸된다. 반면 SN1991bg 유형 초신성의 경우 티타늄44가 천천히 붕괴되므로 양전자 대다수가 우주공간의 전자와 만나 소멸하고 따라서 이때 나오는 감마선을 관측할 수 있다. - 네이처 천문학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