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쾌활
명랑
활동
행동
실행
활기
원기왕성
스페셜
"
활발
"(으)로 총 48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성간공간에서 얼음을 이루던 물분자와 성운의 수소분자 사이에 수소원자의 교환반응이
활발
하게 이뤄지면서 물분자의 D/H비율이 낮아졌다는 것.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아져 이 반응의 빈도가 떨어졌기 때문에 물분자의 D/H비율이 태양계 내에서도 차이가 난다는 말이다. D/H비율값이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소형화, 잔존 청력의 보존과 소아 난청자들의 재수술을 위한 비외상성 전극 개발 등이
활발
하게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공와우 장치 전량을 해외 수입에 의존해 왔으나, 서울대와 뉴로바이오시스의 산학협력을 통해 값싸고 성능이 뛰어난 국내 최초의 다채널 인공와우를 개발한 바 있다. ... ...
[이달의 역사] 새로운 심장을 고동치게 하라
KISTI
l
2015.01.19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기는 했지만, 1970년대 전반에 걸쳐 심장 이식은 그다지
활발
하게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심장 이식 수술 이후 반드시 필요한 면역 억제제의 부작용이 매우 심해서 수술 이후 1년 이상 생존하는 환자가 극히 드물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본격적인 심장 이식의 시대는 1983년부터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검출할 수 있는 더 큰 규모의 가속기(둘레 100km에 이르는) 건설에 대한 논의가
활발
하다. 그러나 규모가 커질수록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성사 여부도 불확실하고 설사 지어지더라도 여기서 초대칭입자가 검출되지 못하면 사실상 실험으로 입증할 방법이 없다. 그렇더라도 끈이론 학자들은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작용을 방해한다. 그 결과 세포들은 일종의 질식상태가 되는데, 평소 산소 소모가 가장
활발
한 눈이 먼저 손상된다. 즉 메탄올을 과도하게 섭취했을 경우 실명이 되고 그 선을 넘으면 사망에 이른다. 술을 마시는 사람들에겐 안 된 게 차라리 메탄올이 대사가 되지 않으면 혈액에 녹아 있다가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
IBS
l
2014.12.10
연구하는 기초과학자들의 몫이다. 특히 전자의 스핀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
하여 아예 '스핀트로닉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다행히 스핀트로닉스 분야에서 주목할만한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가 지난해 IBS의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이 추진 중인 밸리트로닉스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갈수록 활성이 낮다.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한편 두 가지 고통 모두에
활발
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진 영역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차이가 났다. 예를 들어 뇌에서 통증을 처리하는 핵심 영역으로 알려진 배측(등쪽)전대상피질(dACC)의 경우 감지력을 높게 해(즉 삼차원 픽셀(복셀(voxel)이라고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주장한 논문을 ‘네이처’에 발표했다. 아르케스 성단 역시 우리은하에서 별 탄생이
활발
한 지역으로 당시 피거 박사는 태양 질량의 120~130배인 별을 세 개 발견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 먼 거리에 있는 별의 질량을 알 수 있을까. 물론 별의 질량을 직접 측정하는 건 불가능하고 관측된 별의 ... ...
제2의 석기시대를 지탱하는 신기술
IBS
l
2014.11.13
화제가 된 그래핀도 탄소 기반 소자로 탄소나노튜브나 풀러렌 기반의 반도체 소자도
활발
하게 연구중이다. 다른 방식의 접근법도 있다. 전자의 흐름으로 정보를 표현하는 현재의 실리콘 기반 반도체는 양자터널링 현상을 극복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다. 실제로 공정이 양자적 수준으로 미세해짐에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특정 위치를 찾으려는 시도와 함께 활성화되는 세포가 있고 해당 장소로 이동할 때
활발
해지는 세포가 있던 것이다. '몸 안의 GPS'라고도 불리는 이들 장소세포는 주변 환경에 대한 지도를 머릿속에 구축함으로써 올바른 위치를 찾게 해준다. 모세르 교수 부부는 2005년 실험에서 또 다른 위치정보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