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5,47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조미료 주성분 MSG는 무해하다"
과학동아
l
199403
화학조미료의 주요 성분인 MSG의 유해성을 둘러싼 논쟁을 심화시킬 또 하나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월 15일자 뉴사이언티스트지에 의하면 호주 서부 시드니대학의 화학 ... 등의 재료들이 발효되면서 형성된 히스타민계통의 복합물일 것으로 추정하면서 MSG를 '희생
양
'에 비유하고 있다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03
구태회―진지하게 관찰하고 흥미를 가져주신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생태계는 다
양
한 종들이 구체적으로 얼기설기 얽혀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날벌레 날파리 등 우리 눈에 하찮은 생물이라 해도 생태계 구성원의 하나지요. 그들이 존재·봉사했기에 우리도 존재할 수 ... ...
생물- 유리잔에 묻은 지문 채취하기
과학동아
l
199403
됩니다).2. 흰 종이 위에 잉크를 묻힌 손가락을 돌려 한마디가 완전히 찍히도록 합니다.3.
양
손 모두 10손가락을 찍어 각 손가락에 번호를 적어둡니다.4. 종이에 찍힌 지문을 잘 말린 다음 기본형을 보고 분류해 보세요.실험방법1. 자신의 지문이 유리잔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며 유리 잔에 묻어있는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
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03
천년간 그렇게 생각해왔듯이. 아시아에서는 칡으로 종이와 옷을 만들고 가축을 먹이며 토
양
을 기름지게 하는데 사용되었다. 알라바마주의 어번대학 원예학 명예 교수인 해리 아믈링 박사에 따르면 일본인들은 이 식물로부터 해열제를 뽑아내기도 한다고 한다. 또한 최근에 하버드의대 연구자들은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02
이것은 최근에 AIDS에서 보듯이 원인 바이러스인 HIV의 생물학적 특성이 밝혀져야 질병발생
양
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퇴치방법이 강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사람이 지구상에 나타나 환경변화에 적응하면서 무수한 변화를 하듯이 사람을 좋아하는 바이러스도 무수한 변화를 하면서 공존하지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02
뇌 등에는 전하를 띤 전자가 존재하므로
양
전자와 충돌해 감마선을 방출하는 것이다.
양
전자는 가장 만들기 쉬운 반입자이므로 응용의 가능성이 가장 높다.PTE는 NMR-CT(핵자기공명단층촬영기)보다 감도가 20배 이상 높고, 해상력이 3-5배 가량 우수하며, 정량분석도 가능하기 때문에 중추신경질환 ... ...
화학- 물위에 물 쌓기
과학동아
l
199402
합니다. 무지개를 시험관 안에 가두어 두려면 이만한 정성은 들여야겠죠?설탕의
양
에 따라 밀도가 달라진다는 사실, 바로 이것이 물 위에 물을 쌓아 무지개 물탑을 만들 수 있게 하는 열쇠랍니다. 밀도는 액체만 가질 수 있는 성질이 아닙니다. 고체 기체 모두 밀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고체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02
흡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또한 북반구의 해
양
에서 이제까지 관측한 많은
양
의 이산화탄소 분압 자료에 근거해서 볼 때 북반구의 바다가 이렇게 많은 이산화탄소를 소화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즉 북반구의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없다면 북반구의 육상 어디엔가에서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02
부부의 연(緣)을 맺을 것을 진지하게 생각할 때, 방사선 사진을 찍거나 바소프레소
양
을 검사할 것을 고려하게 될 이후의 발전이 무척이나 기다려진다. 이것과 관련해서 생각나는 것은 우리가 자식을 키우는데 암컷과 수컷 모두가 동등하게 열심히 일하는 북미산 들쥐를 본받는 것이 현명하다는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02
이름을 붙이는 문제를 둘러싸고 연구팀들 간에 마찰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는 다
양
한 유전자들에 번호를 매기기를 원하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문자로 명명하기를 원하고 있다.하버드 의대 발생생물학자인 클리포드 태빈 박사는 새로 발견되는 유전자의 이름을 진짜 고슴도치 종(種)의 이름을 따서 ... ...
이전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