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MARS 2025과학동아 l2016년 11호
- 2025년까지 인류를 화성에 보내겠다고 선언하며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과연 우리는 화성에 얼마나 가까워져 있을까. 화성을 향한 긴 여행을 위해 인류가 바친 치열한 고민을 담아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Part 2. ...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떠났고 그 중 일부는 우리가 몰랐던 화성의 아름다운 모습을 전해왔다. 이제 직접 우리의 눈으로 화성을 확인해야 할 때다.화성에 가는 길은 멀고도 험하다우주 항공 기술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했음에도, 화성은 여전히 멀다. 화성이 지구에서 최대로 멀어졌을 때는 달보다 수천 배 더 멀다. 그 먼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또 우리의 기대만큼 DNA가 만능열쇠인지 살펴본다.강력한 신원 확인 도구, 상염색체 DNA 우리 몸엔 30조 개가 넘는 세포가 있다. 세포는 핵과 세포질로 이뤄져 있는데, 핵과 세포질 속의 미토콘드리아에 DNA가 들어있다. 각각 핵 DNA, 미토콘드리아 DNA(mtDNA)라고 부른다. 이 둘 모두 신원 확인98을 하는 데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멸종위기종은 가까운 곳에 있다우리나라엔 몇 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지 알고 있나요? 2015년 말까지 확인한 결과, 우리나라엔 4만 5295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 사라지고 있어~!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 ... ...
- Part 3. 발암물질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약하지만 여전히 우리 몸에서 암을 일으킬 확률이 높은 아주 위험한 물질이랍니다.일단 우리 몸에서 만들어진 NNAL은 약 1~2주 정도가 지나야 몸 밖으로 빠져나가요. NNAL은 주로 직접 또는 간접흡연을 통해서만 만들어지기 때문에, 간접흡연 여부와 그 정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합니다.”정다미 연구원의 인사로 제비 현장교육이 시작됐어요. 예전에 제비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였어요. 하지만 이제는 전세계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어 보호가 필요한 종이지요.올해 제비 탐사 목표는 제비 보호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거예요. 대원들은 제비 둥지를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몰랐다면 결코 상대성이론을 만들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인 지구와 우주는 굽어 있다. 그것을 깨닫는 데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Part 3. ...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발견하면 그건 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라며 “그러나 수십 억 년전에 우리 행성에서 메탄가스는 그렇게 큰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26일자에 발표됐다 ... ...
- [News & Issue] 맛=감각+영양+추억!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우리 뇌 속에 음식의 맛을 평가하는 감정단이 있다면, 성격이 아주 까다로울 것이다. 웬만큼 잘해서는 그냥 불합격이다. 한 과목만 잘해선 안 되 ... 높으면 맛있다고 평가한다. 또, 전체점수가 기준선을 넘으면 엄청난 가산점을 주는 시스템이다. 우리가 느끼는 맛은 왜 이토록 복잡한걸까.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개수에 정비례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여기서 말하는 전자가 차지하는 공간이란, 우리가 눈이나 현미경, 혹은 어떤 다른 관측 도구로 볼 수 있는 실제 공간이 아니다. 양자역학에서는 물체의 위치와 속도를 함께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둘 중 하나를 택해 운동을 기술한다. 양자 홀 효과를 ... ...
이전4264274284294304314324334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