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20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쓸안잡] 2화.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2018.09.14
안전성평가연구소는 다양한 안전성평가연구와 이를 이용한 독성평가시험을 통해
인간
과 자연에 안전한 화학물질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웹툰 「알쓸안잡」은 안전성평가연구가 어떻게 이뤄지는지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시험결과를 위해 과학자들이 어떤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 ... ...
R&D심장 찾은 이재용 “미래 선도해야”
동아일보
l
2018.09.13
통·번역 및 자율주행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뉴럴 프로세서 상용화도 추진 중이다. 특히
인간
의 뇌신경을 모방한 차세대 뉴로모픽 프로세서를 비롯한 AI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뉴로모픽 프로세서가 적용되면 개별 디바이스에서도 ‘알파고’ 수준의 개인비서 기능이 실현될 수 ... ...
[이강운의 곤충記]가을철 풀벌레소리 정취에 숨은 과학
2018.09.12
그래서 우리 곁을 지키는 곤충들의 한살이와 생태를 담은 글과 사진을 준비했습니다.
인간
이 자연의 일부임을 깨닫게 해 주는 작은 알림이 됐으면 합니다 ... ...
인기 크리에이터 '와빌'과 '1분과학'처럼 되고 싶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9.12
있다”고 답하는가 하면, 간동혁 기자는 “AI는 논리에 모순이 생기지 않도록 하지만,
인간
은 모순이 생기더라도 거짓말을 해 위기를 모면할 수 있다”고 대답했지요. 어과동 기자단 친구들의 수준 높은 답변을 들은 1분과학은 깜짝 놀라며, “영상을 만들기 전에 과학 주제를 어떻게 다룰것인지 ... ...
로봇도 촉감 느낀다…자극감지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2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복잡한 형태를 지닌 로봇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인공피부는
인간
의 피부와 비슷하게 압력과 마찰을 구분해낸다. 수직 압력과 마찰에 대해 로봇피부의 내부구조가 각각 다르게 변형되기 때문에 이들을 구분할 수 있다. 또 ‘전기임피던스영상(EIT)’이라 불리는 의료영상 ... ...
[DBR]“바삭바삭~” 이 소리가 프링글스의 크기를 정했다
동아일보
l
2018.09.12
개선된 품질을 어떻게 감각적으로 전달할 것인가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그렇다면
인간
의 오감에 호소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경영 전문지 DBR(동아비즈니스리뷰) 256호 스페셜 리포트의 내용을 정리해 소개한다. ○ 감각의 특성을 활용하라 김병규 연세대 경영학과 ... ...
박쥐는 왜 메르스에 안 걸릴까?
2018.09.11
의한 바이러스 운송 비율을 실제로 증가시킨 증거도 있다”며, “박쥐에 대한 연구로
인간
을 위한 새로운 바이러스 치료제의 길을 열어주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및 참고 https://www.ncbi.nlm.nih.gov/pubmed/16195424 https://www.ncbi.nlm.nih.gov/pubmed/28377531 http://www.buffalo.edu/news/releases/2018/07/019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면 어떻게 될까 하는 생각이 든다. 즉 보노보의 FOXP2 유전자를
인간
형으로 바꾸는 것이다. 크리스퍼 기술이 있기 때문에 어려운 일은 아닐 것이다. 실제 이런 실험이 2009년 생쥐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사람형 FOXP2를 지닌 생쥐는 초음파 영역에서 내는 ‘찍찍’거리는 ... ...
퇴마사를 불러야 할 상황
팝뉴스
l
2018.09.11
불릴 수도 있겠지만 퇴마사가 필요한 이유는 지나치게 유연하기 때문이다.
인간
의 한계를 넘어선 유연성을 자랑한다면, 나쁜 악령의 조종을 받는 것일 수도 있다는 논리다. 어째되었건 사진 속 사람들은 믿기 힘들 정도의 유연성을 자랑한다. 무서울 정도다. ※ 편집자주 ... ...
유전자 가위 세기의 특허戰 종지부… "최후 승자는 MIT·하버드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지난달 기자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캐스나인 대신 캐스12 a 등 다른 단백질을 이용해
인간
유두종바이러스(HPV)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며 "감염병 진단에도 크리스퍼가 활약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한국에서는 대표적 크리스퍼 전문가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이 ... ...
이전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