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동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B맥놀이보다 두배 자주 일어나므로 A의 진동수 차가 B진동수 차의 두배일 것이다.5. (3)위
그림
은 줄이 진동해서 '덮개'를 어떻게 떨어뜨리는가를 보여준다. 6. (3)피아노 조율사는 피아노와 음차 소리를 함께 내면서 맥놀이를 듣는다. 피아노와 음차의 음이 가까워질수록 맥놀이 간격은 훨씬 커진다.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거의 문제화되지 않아요.공업점수를 높이려면 정리해 놓은 핵심내용을 되풀이해서
그림
으로 이해하고, 줄을 쳐 가면서 관련된 문제를 스스로 풀어 본 후 정답과 대조해보는 자세가 필요해요. 아울러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출제의 흐름을 미리 파악해두는 일도 고득점 비결이에요.길-가사과목은 ... ...
말하는 컴퓨터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가장 유명한 음성인식장치라고 하겠다.음성에 의한 인간-기계간(man-machine)의 통신은 (
그림
1)과 같다. 즉 음성인식이란 사람이 기계에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써, 음성으로 정보입력을 가능케하는 기술이다. 음성에 의한 정보입력은 사람의 부담이 가장 적은 입력방식이지만 기술적으로 어렵기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86년) 해왕성(89년) 탐사를 훌륭히 수행해내고 이제 서서히 태양계 밖으로 벗어나고 있다(
그림
1). 혹시 있을지도 모를 외계인과의 만남을 준비하면서.보이저2호가 지난 8월에 보내온 해왕성사진은 지구인의 가슴을 설레이게 하기에 족했다. 보이저2호에 의해 '푸른색을 띤 진주'란 애칭을 얻게된 ... ...
세체개발에 바친 50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더욱 자랑스럽지 아니한가?"대개 문자의 형성과정을 보면 ①기억방조(記憶傍助) ②
그림
(회화문자) ③상형문자 ④음절문자 ⑤뜻글자 ⑥음소문자 등 6단계로 발전돼 왔는데 한글은 처음부터 음소문자로 만들어져 선진국의 언어학자들도 놀라고 있는 것이다. 음소란 더이상 나눌수 없는 최소한의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비포장 도로를 약 10시간 덜컹대며 백두산을 향하여 남서쪽으로 약 2백70㎞를 달렸다.(
그림
1) 백두산은 넓고 두꺼운 현무암대지(玄武岩台地)와 경사현무암고원이라는 자애로운 어머니 등에 업혀서 우뚝 선 아들같은 산봉우리이다. 백두산은 행정구역상으로 북한의 양강도 삼지연군과 중국의 길림성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충돌하면 밝은 상(像)을 나타내 보이는 형광막(螢光膜, phosphor screen)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을 통하여 이미지증폭관의 원리를 알아보자. 이미지관의 원통 한끝에는 반투명한 광음극이 있고 다른 쪽 끝에는 형광막이 있다. 또 이들 사이에 전자(電磁)렌즈가 있어 광음극에서 나온 광전자가 형광막과 ... ...
PART5 월경과 임신의 생리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다음 월경이 시작할 때까지는 피임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 기간은 약 10일간이다(
그림
참조).■경구피임제 복용법비교적 높은 농도의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은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감소시켜 배란을 억제한다. 이런 작용을 이용하여 합성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제제의 ... ...
전국 대학생소프트웨어전시회 한글처리와 통신분야가 인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등의 관계가 어느 정도 밀접한지를 컴퓨터가 판단해준다는 것이다.숙명여대팀은
그림
과 음성으로 복음을 전도하는 'Graphic'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목적지를 입력하면 좌석버스노선을 알려주는 기발한 소트프웨어를 출품했다.이외에 김근재군(부산외대 전산3)의 로터스를 이용한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이 태양상수가 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SMM 태양관측위성의 측정결과가 (
그림
2)에 나타나 있다. 요컨대 큰 흑점이 많이 나타날 때는 태양상수가 0.1% 정도 감소한다. 이는 큰 흑점이 집단으로 발생, 태양광구를 가리면 태양전체의 밝기가 그만큼 어두워진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그러면 이와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