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기술하기 위한 물리학일상생활에서는 전하(대
부분
의 경우 전자)가 지나가는 대
부분
의 통로는 3차원이다(예: 전자제품속의 구리선) 이러한 3차원의 전도체를 한쪽 방향으로 납작하게 만든다면 전자의 운동은 2차원으로 구속될 것이다 이처럼 전자의 운동이 2차원에 구속된 구조를 양자우물이라고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멀다”고 말했다. NER 과정에 참여하는 단백질 중 아직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단백질이 대
부분
인데다가, 이 단백질의 구조가 손상된 DNA를 찾고 복구하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 단장의 궁극적인 목표는 새로운 개념의 항암제를 만드는 일이다. 그는 “암세포도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바꾸어서 보낼 경우 전체를 극히 작은 직사각형의
부분
으로 나누고 다음에 이 띠모양의
부분
을 1개씩 일정방향으로 소사(掃射)하여 광학적인 강약을 전기적인 강약으로 변환한다 결국 넓은 화면을 먼저 많은 선, 즉 주사선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의 선을 많은 점의 집합으로 나누어 전체를 아주 작은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이를 분석하면 환자 사이에는 공통적으로, 환자가 아닌 사람과는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
을 찾을 수 있다. 김 교수는 이 영역에 속한 유전자 200개를 놓고 범위를 좁혀가며 분석해 원인유전자를 찾아냈다. CMTX5병을 처음 발견하고 거의 2년 만에 얻은 성과였다.김 교수는 “원인유전자인 PRPS1은 DNA나 RNA의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끼어들며 아는 체를 했다. 아빠가 빙그레 웃으셨다.“옛날에는 그랬지. 하지만 지금은 대
부분
의 전기를 물로 만든단다.”“물이요? 수력 발전 말씀이세요?”“아니야. 핵융합이라고 들어 봤지? 물에서 나온 수소를 핵융합시켜 전기를 얻는거란다.”과학자들은 2026년이 되면 핵융합 기술이 개발될 ... ...
돌격! 동물특공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을 만한 곳이 나타나면 우리를 땅 위에 올려 놔. 그럼 우리가 지뢰 냄새를 맡고 그
부분
을 발로 긁어서 신호를 보내지. 이 때 사람들이 와서 지뢰를 제거하는 거야.왜 하필 쥐냐구? 우리는 몸길이 75㎝, 몸무게 1.35㎏정도로 지뢰탐지견이나 사람보다 덩치가 작고 가벼워 지뢰 위를 뛰어다녀도 터지지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오텐센 | 미국 메릴랜드대나뭇가지가 사방으로 뻗은 모양이다. 넓적한 잎 끝
부분
이 바늘처럼 뾰족한데, 검은색 배경 위 금색 식물이 한 폭의 추상화를 보는 듯하다. 미국 메릴랜드대 식물학과 안드레아 오텐센 교수는 비료로 쓸 조류(algae)를 찾던 중 캐나다 케이프브레톤 섬에서 뿔가사리를 ... ...
현미경 속 열대어, 찹쌀 도넛, 네잎 클로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의 아가미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3000배 확대해 촬영했다. 윗
부분
에 실처럼 보이는 것이 아가미의 섬모다.빨래공 입선작·고등부김경태·청주청석고(지도_청석고 박종열) 세탁기 속에서 빨랫감이 서로 엉키지 않게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빨래공 같다. 꽃고비과 플록스(Phlox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만든 배아줄기세포가 수정란에서 유래한 정상 배아줄기세포와 비슷하더라도 세세한
부분
에서 차이가 날 경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 조작에 따른 불완전성의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확보되지 않는 한 이 세포주를 임상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또 성공 효율이 ... ...
1. 하드디스크 소형화 일등공신 거대자기저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지나면 자기저항효과 때문에 헤드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한다. 만약 자성물질이 없는
부분
을 지나면 전류가 다시 증가한다. 이 전류 차이를 ‘1’과 ‘0’으로 읽어내는 원리다.MR 하드디스크 헤드 기술덕분에 1cm2 당 1Mb였던 하드디스크의 메모리 용량은 10Mb로 증가했다. 하지만 MR하드디스크의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