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품목을 늘려갔다. 2014년에는 약 30개의 식품을 개발했고, 화성에 가던 2030년대에는 100종 이상의 제품을 보유하게 됐다. 우주인들이 여러 해 우주에서만 살아도 먹는 문제로 괴로워하지는 않을 수준이다. 우주식품을 개발하는 과학자들은 “우주식품이야말로 우리나라가 화성에 우주인을 보낼 수 ... ...
- 홈즈의 체육 선생님 ‘캡틴 어무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열심히 러닝머신으로 달리기를 하고 있다. 하지만 너무 무리하면 안 된다. 열량 300kcal 이상을 소모한 사람을 찾아서 알려 주어야 한다.대박 난 스포츠 센터“선생님, 이렇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드릴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앞으로 늘 건강하세요.”썰렁홈즈는 선생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끌어 내는 능력이 20대 젊은이보다 더 좋았단다. 심지어 여성, 즉 할머니들은 60대 이상일 때 점수가 더 올라갔다지. 연구자들은 노인들의 뇌는 풍부한 경험과 통찰력으로 사물을 넓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고 결론내렸단다. 아주 마음에 드는 결론이야, 오호홍!우리가 기억을 깜빡깜빡하는 ...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발견되는 공통적인 단일염기다형성(SNP★)을 찾고 있는 것이다. 사람은 유전자가 99.9% 이상 동일한데, 단 0.1%의 유전자가 달라 인종과 생김새, 질병 등의 개인차가 생긴다. 따라서 연구팀은 수학 영재들에게만 나타나는 SNP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SNP★는 사람이 가진 30억 개의 염기서열 가운데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영화 를 홍보하던 광고 문구다. 어느덧 우리는 마음껏 상상하고, 상상 그 이상의 가상현실이 눈앞에 펼쳐지는 세상에 살고 있다.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달로 ‘골룸’이 사람처럼 말하고 자유자재로 움직인다.이처럼 영화나 컴퓨터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가상의 캐릭터들에게 가장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세드나’(2003년 발견)다. 태양에서 행성 궤도의 끝(해왕성 궤도)까지의 거리보다 3배 이상 먼 거리를 긴 타원 궤도로 돌며, 지름은 1000km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명왕성보다는 훨씬 작다). 하지만 올해 3월 ‘네이처’에 드디어 두번째 천체가 발표됐다. ‘2012VP113’이라는 이름의 소천체는 201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후 우리 정부는 외국쌀을 의무적으로 일정량 수입했다. 작년 한 해만 쌀을 50만t 이상 수입했다. 국내 쌀 생산량의 10%에 해당한다. 최근 정부는 쌀 시장 완전개방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과연 고율의 관세로 언제까지 우리 쌀을 지켜낼 수 있을지 미지수다.값싼 외국 쌀의 공세에 맞서 한반도의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볼 수 있는 존재가 아니면 자신이 속한 우주밖에 볼 수 없으므로 확률이라는 개념이 이상해진다. 이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많은 물리학자들이 다세계 해석을 지지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그 지긋지긋한 양자 측정 문제를 간단히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는 그냥 슈뢰딩거 방정식에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시작했습니다.Q 수중 음향 연구는 어떤 곳에 활용되나요?A 우리는 우주를 모르는 것 이상으로 바다를 잘 모릅니다. 제대로 된 바다 속 해저지형 지도조차 없습니다. 수중 음향 탐사를 이용하면 바다 밑까지 직접 내려가지 않고도 바다의 지형을 탐사할 수 있습니다. 지형탐사는 바다를 연구할 때 가장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하나가 길이라면 수 2개의 곱은 면적이고, 수 3개의 곱은 부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4개 이상의 곱은 기하학적인 해석이 불가능하다.물론 지금도 정수나 유리수의 세계를 넘어서 실수에 대한 직관을 키우려면 실수를 직선상의 점과 동일하게 여기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이런 시각적인 연습은 ... ...
이전427428429430431432433434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