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끌어 내는 능력이 20대 젊은이보다 더 좋았단다. 심지어 여성, 즉 할머니들은 60대 이상일 때 점수가 더 올라갔다지. 연구자들은 노인들의 뇌는 풍부한 경험과 통찰력으로 사물을 넓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고 결론내렸단다. 아주 마음에 드는 결론이야, 오호홍!우리가 기억을 깜빡깜빡하는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미국 노스웨스턴대와 텍사스 A&M대학 연구팀은 영어로 숫자를 셀 때 사용하는 언어가 24개 이상인 반면, 한국어로 수를 세는 데에 필요한 단어는 10개에 불과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하지만 전문가들은 이견이 분분하다. 서울대 언어학과 권재일 교수는 “한국어의 수 표현은 십칠, 열일곱 등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섭렵하면서 수학에 흥미를 느낀 안진후 학생은 퍼즐을 하나하나 수집하다 보니 더 이상 구할 수 있는 퍼즐이 없어 직접 퍼즐을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첫 퍼즐을 몇 개월 만에 제작한 그는 단순히 경험상 참가해 본 국제퍼즐디자인대회에서 최고상을 수상했다.“당연히 믿기지 않았죠. 저는 단지 ...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그때서야 루게릭병 판정을 받는다. 조광희 한국루게릭병협회 사무국장은 “근육에 이상을 느낀 환자들은 처음 몇 개월간 한의원에서 침을 맞거나 이 병원 저 병원 찾아 다닌다”며 “신경과에 와서야 루게릭병 판정을 듣고 하늘이 무너지는 절망을 경험한다”고 말했다.초기 루게릭병 환자들은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볼 수 있는 존재가 아니면 자신이 속한 우주밖에 볼 수 없으므로 확률이라는 개념이 이상해진다. 이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많은 물리학자들이 다세계 해석을 지지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그 지긋지긋한 양자 측정 문제를 간단히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는 그냥 슈뢰딩거 방정식에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표면을 뒤덮은 투명한 방울처럼 생긴 조직을 먹은 만두카는 몸과 배설물에서 이상한 냄새를 풍기게 된다. 이 냄새를 맡은 개미는 어느새 식물의 줄기를 타고 올라와 만두카를 잡아간다. 만일 끝까지 만두카가 살아남으면, 최후의 수단을 쓴다. 잎에서 만든 영양분을 뿌리로 내려 보내는 것이다.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0.1%도 안 된다는 소리다. 신종헌터들은 지구상에 박테리아가 100만 종에서 1000만 종 이상까지 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 진핵생물에서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새로운 문'을 발견하는 일이 그래서 박테리아에서는 가능하다. 조 교수가 2004년 23번째 문을 발견한 이후로 지금까지 3개가 더 발견됐다. ... ...
- [과학뉴스] 별만 2억1900만 개 우리은하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제도의 라 팔마 섬에 있는 구경 2.5m 아이작뉴턴망원경으로 우리은하에 있는 밝기 20등급 이상의 모든 별을 관측했다.20등급은 사람의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별보다 약 100만 배 더 희미한 밝기다.연구팀은 그간 축적한 별 데이터를 프로젝트 홈페이지(iphas.org/data)에 누구나 볼 수 있도록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성공한 반면, 고층부 환자는 평균 2분이 더 지나서야 구조가 가능했다. 2008년에도 50층 이상 초고층건물이 밀집한 부산 재송동의 응급구조 기록을 연구한 결과가 같은 학술지에 실렸는데, 역시 층수가 높아질수록 구조 시간이 늘어났다. 초고층 지어야 할까사실 초고층과 관련해 떠올릴 수 있는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오산이다. 융합형 인재가 무엇이라고 정의를 내리는 순간부터 그 테두리에 갇혀서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 테두리를 부수고 경계를 허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세상에 천재는 없다고 생각한다. 소위 사람들이 천재라고 부르는 이들은 사실 ‘생각을 많이 하는 사람’일 뿐이다. 어떤 ... ...
이전427428429430431432433434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