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뇌신경 측정 장비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뇌신경을 자극하고 동시에 신경이 활성화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미세 광전극체를 만들어 쥐의 뇌신경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의 장비는 뇌신경을 자극하는 전극과 측정하는 전극이 각각 따로 있었는데, 두 개의 전극을 정확히 같은 곳에 꽂을 수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그 중 3분의 1이 가임 암소다. 이들을 매년 수태시키는 데 쓰이는 수소는 불과 50마리 정도다. 이를 씨수소라고 한다. 우수한 형질의 송아지를 얻기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매년 우량한 수소를 뽑아 이들의 정액을 전국의 한우 축산농가에 보급한다.씨수소를 뽑을 때는 3개 관문을 거친다. 부모 혈통,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상대가 어떻게 받아들였냐가 중요하다도움, 얼마면 돼?다음으로 생각해볼 것은 도움의 정도다. 도움을 지나치게 많이 줘도 도움 받는 이의 자율성과 자존감을해칠 수 있다. 일례로 부모가 아이의 숙제를 거의 다해줄 경우, 겉으로 보이는 성적은 좋아져도 아이의 자존감은 제자리를 맴돈다. 심한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뇌물 수수가 아주 흔한 일이다. 태국 방콕 경찰청은 경찰이 뇌물을 거절하려면 어느 정도의 추가 수당을 줘야 하는지를 조사해 경제 분야 이그노벨상을 수상했다.의학상 : 하지메 키마타 교수팀과 공동수상한 슬로바키아 코메니우스대 나탈리아 카모디오 박사팀은 키스를 하고 난 뒤 10분에서 최대 6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질주하며 뒤섞인다. 평소 축구를 즐겨보지 않는 사람은 누가 누군지 구분하기도 힘들 정도다. 게다가 선수들이 뛰어 오르고 드러누우며 몸의 형태를 수없이 바꾸는데, 소프트웨어는 무슨 수로 각각의 선수를 구분하는 걸까.소프트웨어는 일단 카메라에 찍힌 영상에서 선수들만 떼어낸다. 관중과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도전! UNIST ➓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갖는 탄소 소재’ 등을 합성하는 것이다.초박막 다이아몬드 필름은 두께가 원자 한 층 정도인 1nm(나노미터·10억 분의 1m)에 불과한 소재로 열을 전달하는 성질을 비롯해 광학적, 전기적으로 굉장히 흥미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음의 곡률을 갖는 탄소 소재 역시 많은 학자들이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기록이 남아 있나A 그건 아니다. 기록을 보면 거북선은 길이가 20m, 폭은 8m, 높이는 5m 정도 된다. 이 배에 천자·지자·현자·황자 등 총 19기의 총통이 장착돼 있었는데 이 대포가 내부구조를 파악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됐다. 이렇게 많은 대포를 배 양옆에 일렬로 설치하려면 노를 젓는 공간이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8배로 높다. 또 장수말벌은 단체로 공격하니 눈에 잘 띄어, 이들만 막으면 벌집을 어느 정도 보호할 수 있다. 반면 등검은말벌은 시도 때도 없이 공격하기 때문에 24시간 대기조가 필요하다.최 교수는 “양봉업자에게 등검은말벌을 알아서 막으라는 건 하루 종일 벌집 옆에 있으라는 이야기나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학생도 24명이 있었다.이아름 임상심리전문가는 “다들 학교에 나와서 공부를 할 정도로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심각하게 진단내릴 아이들은 없어보인다”면서도 “다만 외상후스트레스증상과 우울증상을 같이 보이는 아이가 두 명 있었는데 이 아이들은 향후 잘 관찰할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직후 기자회견에서 “내가 기억하는 그는 일주일에 90시간을 연구실과 도서관에서 보낼 정도였다”고 말했다. 산자르 교수는 연구자의 자질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성실함이라고 판단했다. 천재적인 두뇌를 가졌더라도 열심히 연구하지 않으면, 평범한 두뇌로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에게 결국 뒤처지게 ... ...
이전427428429430431432433434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