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뉴스
"
기초
"(으)로 총 4,840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칼슘이온 조절하고 기억력도 높인다
2015.09.15
심장부정맥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허원도
기초
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그룹리더(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진과 한용만, 김대수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공동으로 빛을 이용해 살아있는 쥐의 몸속에서 칼슘이온의 농도를 조절하는데 성공했다고 ... ...
지구상 나무는 총 3조 그루, 1인당 422그루 소지
2015.09.13
크라우더 연구원은 “이 연구결과가 지구의 동식물 다양성이나 기후변화 등을 연구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마다 없어지는 나무는 150억 그루인데 반해 새로 심는 나무는 50억 그루에 불과한 만큼 행동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 ...
일기예보는 얼마나 더 정확해질까?
2015.09.06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는 익숙한 일기예보 화면을 표지에 담았다. 일기예보가 더 정확해질 거라는 장밋빛 미래와 함께 말이다. ...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란 정부는 3억 달러(약 3540억 원)를 투자한 이란 최대의
기초
과학연구 프로젝트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 ...
이란, 핵물질 저장하던 시설에서 암흑에너지 연구
2015.09.06
보유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이란 정부는 지진학에서 줄기세포까지 폭넓은 분야에서
기초
과학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핵무기 개발하던 시설에서 우주 암흑에너지 연구 이 칼럼은 학술지 ‘사이언스’의 국제뉴스 편집장인 리처드 스톤(사진)이 작성했다. 그는 ‘북한 내부를 자유롭게 ... ...
고등학교 교실에 ‘스마트폰 감옥’ 첫 등장
2015.09.03
또 “사용 정보를 분석하면 스마트폰 사용량과 학업 성취도의 연관성 같은 생활지도
기초
자료로도 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중고교생의 스마트폰 사용이 계속 늘고 있다는 점에서 스마트폰 안전금고는 교육현장에서 크게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가 2013년 6월과 7월 초중고교생을 ... ...
‘X문제’ 50개 선정 ‘X프로젝트’ 뚜껑 열어보니
2015.09.01
이용해 거의 정확하게 윤곽을 재구성하는 데 성공했으며, 2013년 일본 국제전기통신
기초
기술연구소(ATR)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이 꿈을 꾸고 있을 때 측정한 fMRI 데이터를 분석해 참가자들이 꾼 꿈을 유추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종이처럼 얇고, 모양이 변형되는 컴퓨터를 만들 수 있을까’ ... ...
맹점의 생리학
2015.09.01
맹점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는 병적 암점을 지닌 환자들을 위한 치료법을 찾기 위한
기초
연구인 셈이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지각훈련을 통해 병에서 비롯한 국지적 실명의 범위를 줄일 수 있다”며 “이번 연구는 이런 훈련법을 최적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사를 ... ...
실험장비 중복투자 막는다… 과학기술계 연구시설 일괄 관리
2015.08.31
나갈 예정이다. 쉐어는 세종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내에 사무국을 두고 단장(한국
기초
과학지원연구원 이광식 부원장)과 소속전문가를 꾸려 운영된다. 또 월 1회 이상 지원단 운영에 대한 성과보고 및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그간 연구장비 공동 활용이 부족해 예산 ... ...
[2015아태젠더서밋 ③]“젠더혁신에서 ‘통합적 혁신’으로 개념 확장돼야”
2015.08.30
관점에서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캄보디아, 라오스 등 개발도상국에서는
기초
과학과 기술 개발에 모두 투자할 만한 여력이 없어 현실적인 평등과 연구과 어렵다는 점에 대해 그는 “양자택일의 상황에 놓인 국가는 국제적인 협력 체계와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 ...
수학으로 ‘생체리듬’ 설계했더니, 실제로 움직여
2015.08.28
김 교수는 “인공 생체회로 2개를 설계해 안정적인 생체리듬을 구현했다”며 “아직은
기초
단계지만 앞으로 미생물을 이용해 의료용 물질을 생산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매슈 베닛 교수팀이 김재경 KAIST 교수의 설계를 토대로 만든 인공 생명체. 두 종류의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