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95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핵무기 진짜일까 가짜일까… X선은 알고 있다
2016.07.22
다른 연구진도 비슷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로버트 골드스턴 미국 프린스턴대 플라스마
물리
연구소(PPPL) 교수팀은 X선이 아니라 중성자에 주목했다. 고에너지 중성자를 핵탄두에 쏘면 비슷한 원리로 핵무기 감시가 가능하다. 골드스턴 교수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감시 장치를 만들어 2014년 6월 ... ...
유럽보다 미국 갈 때 시차적응이 힘들었던 이유
2016.07.22
여행 방향에 따라 시차 적응에 차이가 나는 이유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밝혀 미국
물리
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카오스(Chaos)’ 12일자에 발표했다. 우리 뇌의 한가운데에 있는 시교차상핵은 고유한 생체시계를 갖고 있다. 그 덕분에 사람은 매일 비슷한 시간에 잠이 들고 일어날 수 있다. ... ...
인공망막 개발 멀지 않았다… 1차원 반도체 개발
2016.07.19
인공망막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신소재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찰스 리버 하버드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전기신호와 광신호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가느다란 선(線)형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런 선형 반도체는 흔히 ‘1차원 ... ...
고양이의
물리
학 수준이 이 정도
과학동아
l
2016.07.19
pixabay 제공 고양이가
물리
적 개념을 이해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일본 교토대 사호 타카기 교수팀은 고양이가
물리
적 현상의 원인과 결과에 대 ...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소리로 상황을 예측한다”며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물리
적 관계를 학습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있는지 놀라울 지경이군. (중략) 나 역시 연구소(보어가 소장으로 있던 코펜하겐 이론
물리
연구소) 내 방에서 있었던 우리의 대화를 또렷하게 기억하고 있네. 자네의 모호한 용어 사용은 나에게 오히려 더 확고한 인상을 심어주었지. 독일에서는 자네의 지도 아래 원자력 무기를 개발하기 위한 모든 ... ...
양자역학을 무대에서 확인한다… 연극 ‘코펜하겐’
2016.07.17
불확실하다는 사실을 증명한 두 사람의 비밀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답다. 복잡한
물리
이론을 일상 언어로 풀어낸 대목도 재미있다. 상보성의 원리와 불확정성 원리를 깨알같이 해설한다. “그날의 변덕에 따라 산책 코스가 달라질 수 있어. 그래서 산책경로는 전자의 경로처럼 온전히 예측할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로 접는 방법 찾았다
2016.07.17
2010년 노벨
물리
학상을 받았다. 그 이전까지만 해도 그래핀의 투명하면서도 견고한
물리
적 특성 때문에 관심이 높았지만 그래핀을 손쉽게 접을 수 있는 방법은 없던 상태였다. 이번 연구성과는 그래핀을 접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것으로 기존에 없었던 고효율 전극이나 트렌지스터 개발로 이어질 ... ...
로봇, 3D로 공룡 연구해보니…‘쥬라기공원’ 허구가 아니네!
2016.07.15
기어 나온 물고기는 어떻게 움직였을까. 몇 해 전 대니얼 골드먼 미국 조지아공대
물리
학과 교수는 뭍에 올라온 최초의 고생물인 ‘익티오스테가(Ichthyostega)’를 연구하다가 의문을 품었다. 익티오스테가는 도롱뇽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몸길이가 1.5m로 훨씬 크고 다리는 더 짧다. 지느러미보다 ... ...
세균으로 스마트폰 충전?
2016.07.10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타일러 쉔드럭 영국 옥스퍼드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동기의 회전자를 세균의 움직임으로 구동할 수 있다는 결과를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9일자에 발표했다. 세균은 인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페르미를 사랑하는 한
물리
학자의 에세이
2016.07.10
행방은 결국 자연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으로 귀결한다. 저자는 “이번 책을 통해
물리
학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싶었지만, 내가 페르미가 아니라는 것만 확인했다”라며 겸손하게 자평한다. 그의 평가가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을 보이는지는 직접 책장을 넘기며 확인해보자. ... ...
이전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