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8,184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11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기까지 30년이나 걸렸습니다. 그간 매년 상을 기대하진 않았나요?” 지난 10월 5일 스웨덴 왕립과학원이 위치한 스톡홀름에 ... 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11
한밤에 청어가 방귀를 뀌는 까닭은 무엇일까. 화장실 유머가 아니다. 노벨상 시즌에 맞춰 재미있으면서도 엽기적인 연구에 주는 ‘이그노벨상’ 중 ... 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11
꼭 필요하다. 요즘은 의학의 발달로 태아의 선천성 기형이나 질병을 임신 중에 미리
발견
해 분만 전에 치료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실제로 태아 심장수술은 분만 후보다 분만 전에 하는 게 결과가 더 좋다는 보고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이후다. 태아수술 후에는 거의 예외 없이 ... ...
X선 회절분석기
과학동아
l
200411
같은 해 X선 회절무늬 사진 촬영이 실제로 성공했다. 1950년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
하는데도 X선 회절무늬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렇다면 XRD가 첨단장비이긴 한 것일까.“XRD는 고전적인 장비가 맞습니다. XRD의 기본원리도 예나 지금이나 동일해요. 하지만 최근에는 X선 발생장치 성능이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11
있었기에 가능했던 인류 공통의 진법 체계인 10진법이 없었다면, 아마도 인도에서
발견
된 0이 아랍으로, 다시 유럽으로 흘러가는 수학의 역사는 없었을 테다. 그리고 인류는 지금과 같은 견고한 수학의 상아탑을 쌓아 올리지 못했을지도 모른다.생각하는 손가락신경 생리학자인 프랭크 윌슨 교수는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11
유전자를 제거한 암컷 들쥐는 자신의 자손을 나몰라라 하고 팽개쳐 둔다.들쥐에서
발견
된 결과는 사회적, 성적 행위에 신경전달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신경회로가 상황에 따라 변하며 암수에 따라서도 서로 다름을 보여준다.하지만 이런 현상이 인간의 경우에도 똑같이 ... ...
가장 잘 보존된 한국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11
공룡알 화석이 추가로
발견
됐다.국내에서는 1973년 경북 의성군에서 공룡뼈 화석이 처음
발견
된 이후 경남 합천군과 진주시, 전남 보성군 등 10여곳에서 공룡뼈 화석이 나왔으며 원형의 15%가 발굴된 게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 ...
2004 노벨상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411
과학자의 최대 영예인 노벨상이 올해도 변함없이 10월에 발표됐다. 지난 몇년 동안 노벨 과학상이 실용 기술과 융합 연구에 관심을 돌렸던 것 ... 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노벨상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11
냄새를 잘 맡는 사람을 보고 ‘개 코’ 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개가 사람보다 후각이 예민하기 때문이다. 개는 수십만 -수백만가지 냄새를 맡을 수 있 ... 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11
탄소나노튜브에 DNA가닥을 붙일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전도도가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정 교수는 “추가 실험을 하던 도중 DNA가 단일가닥이냐 이중가닥이냐에 따라서도 전류량이 달라짐을 확인했다”며 “이는 탄소나노튜브가 바이오센서 소재로 쓰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즉 ... ...
이전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