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장산술 (九章算術)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부피 등을 계산했다. 특히 그는 원에 내접하는 다각형의 변의 수를 두배씩 늘려가는
방식
으로 정다각형의 극한을 이용해 원주율을 계산했는데, 그 결과 π= 3.14$\frac{4}{25}$ 라는 매우 정밀한 값을 얻었다. 후세에 그의 이름을 따서 이를‘휘율’(徽率)이라 불렀다고 한다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이때는 사진을 두번 찍어야 한다. 즉 ‘이중 촬영’
방식
이 동원된다.과학실에서 많이 쓰는 알코올 램프도 이중촬영 기법을 이용한다. 불꽃에 맞춰 빛을 비추면 램프가 잘 나오지 않고, 램프에 빛의 양을 맞추면 불꽃이 잘 나오지 않는다. 빛을 약하게 해 불꽃을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아직까지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바이러스성 질병은 많다. 수혈이나 성 접촉과 같은
방식
으로 감염되는 에이즈나 C형 간염의 경우가 그렇다. 이들은 RNA를 유전체로 갖는RNA 바이러스로 염기서열의 변화가 심해 변이체가 많다. 이는 바이러스 변종이 쉽 게 생겨난다는 말이다. 또한 항원의 면역성이 ... ...
새처럼 날개짓하는 초소형 비행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수 있다. 때문에 초소형 비행기의 크기를 줄일수록 고정날개대신 새처럼 날개짓하는 비행
방식
이 유리하다.지금까지 외국에서 날개짓하는 초소형비행기가 시험용으로 개발된 적은 여러번 있었다. 그러나 비행시간이 몇분에 그쳤다. 이번에 개발된 로봇새는 한번 배터리를 충전하면 20분 이상 ... ...
게임돌풍, 인터페이스의 미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형태의) 이동버튼으로 캐릭터를 움직이고 4-8개의 버튼을 사용해 각각의 액션을 실행하는
방식
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닌텐도가 패미컴을 개발했을 때 만들어진 과거의 철칙을 대단히 잘지키고(또는 바꾸지 않는) 있는 편이다.지금까지 PC에서 비디오 게임기로 몇가지의 게임이 이식됐지만, 그 복잡한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넓어져 유체 영향이 커진다. 그래서 김박사는 마이크로 캡슐형 내시경이 과연 어떤
방식
으로 스스로 체내에서 이동하는 능력을 가질지 여러면으로 모색중이다.이제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의 또다른 개가를 살펴보자. 지난해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장준근 교수와 ... ...
돌아라 돌아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촛불 위에 놓아둔 종이 뱀이 빙글빙글 돌아간다. 구멍 뚫린 음료수 깡통이 혼자서 빙글빙글 돌아간다.돌아가는 종이뱀■ 왜 그럴까?양초에 불을 붙이면 그 주변의 공기는 따뜻해져 ... 공기 중으로 분출되면서 그 반작용으로 금속구가 돌아간다. 이것이 바로 헤론의 열기관 작동
방식
이다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있으며, 맨 처음 왕릉문을 열였던 첫발굴 당시 모습을 재현해 무령왕릉의 원형을 되찾는
방식
이다.체험 복원은 최첨단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타임머신적 복원으로, 일종의 디지털 과거여행으로 이해하면 된다. 지금 디지털 복원에서 주는 현실감으로는 타임머신적 체험 복원의 수준에는 이르지 ... ...
자연의 정교한 수학자 벌 육각기둥을 선택한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줄로 엮어 만드는 거미, 땅 속에 흙을 파서 만드는 개미 등 생명체는 제각기 독특한
방식
으로 집짓기를 한다. 이 중 육각기둥의 독특한 구조를 지닌 벌집이 가장 튼튼하고 과학적이라고 얘기한다. 벌은 어떻게 이 독특한 집을 지을까.여왕벌은 꿀을 찾아 날아다니다가 새로운 집을 지을만한 곳을 ... ...
글 잘 쓰는 과학자가 성공할 확률 높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글쓰기를‘마음의 서치엔진’이라고도 한다. 과학은‘생각하는
방식
’이다. 생각하는
방식
을 바꾸지 않고서는 새로운 것을 발견할 수 없다. 하찮은 실험 결과도 자꾸 글로 정리하면서 마음의 서치엔진을 작동시키다 보면 대발견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 ...
이전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