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돌 때는 왼쪽 귀에 지시가 들리도록 하면 재미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강지훈
연구원
은 “슈퍼컴퓨터 선진국은 이미 용도에 맞게 ‘맞춤형 하이브리드 슈퍼컴퓨터’를 제작해 사용하는 사실에 놀랐다”며 “국내에서도 슈퍼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를 발굴 할 필요가 있다”고 ... ...
“북한 비대칭 전력 첨단과학으로 막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무기들을 개발해온 ADD의
연구원
들에 대한 백 소장의 자부심은 대단하다. 그는 “ADD
연구원
들의 역량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그들이 ‘시간과 비용만 주면 어떤 무기든 개발해 보이겠다’고 호언할 때면 뿌듯한 마음을 감출 수 없다”고 말했다. 허풍이 아니란 것을 알기 때문이다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구애 받지 않고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새로운 전력망이 필요한 이유다. [
연구원
들이 새로운 전력시스템을 실험하고 있다. 연구는 주로 컴퓨터를 이용해 이뤄진다.] 녹색성장 담는 그릇 ‘스마트 그리드’문 교수의 ‘전력시스템 연구실’이 연구하고 있는 ‘지능형 전력망’ ... ...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어떤 형태인지 몰라 고생하기도 했다. 물질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기초과학지원
연구원
과 포항가속기연구소를 찾아다녔고, 많은 도움을 얻어 물질을 완전히 분석했다. 연구를 위해 배움을 마다하지 않는 노력으로 결국 세계적 성과를 얻었던 것이다. 허 교수는 마지막으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 ...
전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우리는 간단한 형광등부터 복잡한 전자제품까지 모든 곳에 전기를 사용한다. 매일 쓰는 전기는 어디에서 생산됐고, 어떤 과정을 거쳐 쓸 수 있는 것일 ... 있다. 전력시스템공학을 전공하면 발전 회사, 전력 거래소, 전력
연구원
, 전기
연구원
을 비롯해 전기와 관련된 기업들에 취업할 수 있다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한다. 게놈 염기서열을 컴퓨터정보로 가공하고 이 정보를 처리하는 학문이다. 김
연구원
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그러나 식물모델인 애기장대만 하더라도 게놈 크기가 119Mb나 되고 유전자 수는 무려 3만 2670개에 이른다. 한 사람이 연구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동물이나 식물의 게놈을 모두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용수로 활용했다.빗물이 땅으로 흡수되도록 돕는 시설도 있다. 이승복 국토
연구원
책임
연구원
은 “독일은 대부분의 도시에서 지하수를 상수원으로 사용하다보니 가장 적극적으로 빗물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독일은 지하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술을 여러 주택 단지에 적용한다.독일 ... ...
고양이에게 달려드는 쥐, “암컷으로 착각해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오줌 냄새가 나는 곳을 떠나지 않고 정상 쥐보다 1.4배 더 오래 머물렀다. 패트릭 하우스
연구원
은 “톡소플라스마가 편도체 내에서 두려움과 매력을 느끼는 영역을 서로 엇갈리게 만들기때문”이라고 설명했다.이 연구 결과는 ‘미국공공과학도서관회지’ 8월 17일자에 실렸다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지난 7월 28일, 과학저널 ‘네이처’에 깜짝 놀랄 만한 소식이 실렸다. ‘시조새’가 새의 조상이 아니라 깃털 달린 ‘공룡’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였다. 시조새와 깃털공룡을 연구해 온 중국학술원 척추고생물 및 고인류학과 수싱 박사가 새로 발굴한 깃털공룡 화석을 조사한 끝에 내린 결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찰할 수 있다.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가능성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김기정 빔라인부
연구원
은 “완성된 뒤 실제로 빔라인에서 연구를 하다 보면 지금은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험이 축적되면 새로운 응용 연구 분야가 개척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 ...
이전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