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0,052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토에세이] 집 속에 집을 짓다과학동아 l201401
- 벽을 세우고 지붕을 얹는다. 창문과 문의 위치를 잡고, 계단으로 층간을 연결한다. CAD 작업이 한창인 컴퓨터 화면만 보면 보통의 건축가 같다. 그러나 막상 집을 짓는 현장에서 쓰이는 재료는 속이 비칠 정도로 얇은 천뿐이다. 이 집은 바로 서도호 작가가 세운 ‘집 속의 집 속의 집 속의 집 속의 집 ... ...
- 사진 두 장으로 10초 만에 3D 캐릭터 만든다과학동아 l201401
- 구본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영상콘텐츠연구부장팀은 사진 두 장만으로도 3차원(3D)영상을 만들어 내는 ‘다시점 영상기반 3D 얼굴복원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월 11일 밝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치과나 성형외과 등 의료 현장에서는 수술 전후 모습을 비교해 볼 수 있고, 게임이나 영화 등 문화 ... ...
- 목소리는 알고 있다 당신의 키를과학동아 l201401
- 목소리를 통해 키를 추정할 수 있다는 이색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워싱턴대 심리학과 존 머튼 교수팀은 사람의 키에 따라 후두에서 나오는 목소리가 달라지며, 다른 사람이 이를 바탕으로 키를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음향학회지’ 11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24명의 실험 참 ... ...
- ‘노벨 화학상 두 번’ 프레데릭 생어 별세과학동아 l201401
- 노벨 화학상을 두 번 받은 영국의 생화학자 프레데릭 생어 박사가 2013년 11월 19일 고국에서 별세했다. 향년 95세. 생어 박사는 인슐린의 아미노산 서열을 밝혀 낸 연구로 첫 번째 노벨 화학상을 받았고(1958년), DNA 염기서열 분석 기술인 ‘생어 기법’을 개발한 공으로 1980년 두 번째 노벨 화학상을 수 ...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과학동아 l201401
- 마을에 고압송전탑 들어오면 죄다 암에 걸려 죽어뿐다!”고압송전탑 설치를 놓고 밀양 주민과 한국전력의 갈등이 빛어졌다. 울산 신고리 원전에서 생산한 전기를 대구 지역으로 보내기 위해 밀양에 765kV 고압송전탑 52기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한전이 발표하자 주민들이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한전 ... ...
- 아무거나 중독이라 말하지 말라과학동아 l201401
- 인터넷이 시끄럽다. ‘중독 예방·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 일명 4대중독법 때문이다. 마약, 도박, 술과 함께 게임을 4대 중독물질로 규정한다는데 게임이 그토록 나쁜 것일까? 더구나 폐암의 원인이라는 그 나쁜 담배보다 심심할 때 가끔 하는 게임이 더 중독되기 쉬운 것일까? 도대체 중독이 ... ...
- 내 돈은 언제 두 배가 될까?과학동아 l201401
-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자코포 데 바르바리는 1495년, ‘파치올리의 초상’이라는 그림을 그렸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파치올리(1445~1514)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수도사였다.수학자를 주인공으로 한 그림답게 수학과 관련된 다양한 소재가 담겨 있다. 그림 오른쪽 아래에는 정다면체 ... ...
- 2014 말의 해 멸종 대신 사람을 선택한 말어린이과학동아 l201401
- 2014년은 푸른 말띠 해!2014년 갑오(甲午)년은 푸른 말 청마띠 해야. 병오년은 붉은 말 적마띠, 무오년은 노란 말 황마띠, 경오년은 흰 말 백마띠, 임오년은 검은 말 흑마띠 해지. 2002년 임오년에 태어나 올해 우리 나이로 13살이면 흑마띠인 거고, 1990년 경오년에 태어나 25살이면 백마띠인 거야.같은 말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01
- 1977년 7월 미국물리학회지(피지컬리뷰레터스)에는 4쪽짜리 논문이 하나 실렸다. 글쓴이는 미국 국립페르미연구소의 벤자민 리 박사와 스탠퍼드대 물리학과의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였다. 와인버그 교수는 10년 전인 1967년, 피터 힉스 교수 등이 발견한 힉스 메커니즘을 이용해 우주의 물질과 힘의 근 ... ...
- 그 많던 공룡 배설물은 누가 다 치웠나과학동아 l201401
- 최근 공룡의 배설물을 바퀴벌레가 깨끗이 먹어 치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슬로바키아 과학아카데미 지질학 연구소 피터 브란스키 교수팀은 지금은 멸종한 고대 바퀴벌레 ‘블라툴리다에(Blattulidae)’의 똥에서 초식공룡 배설물로부터 온 것으로 보이는 나무 입자를 발견했다고 미국공공도서관 ... ...
이전4294304314324334344354364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