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설의 거대한 바다 배스
팝뉴스
l
2017.02.05
팝뉴스 제공 다이버 옆에서 헤엄치는 거대한 물고기는 실제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크기
를 과정 혹은 확대한 결과일까. 화제의 사진 속 물고기는 검은 바다 배스. 멕시코와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해안에서 자주 잡혔다. 280kg까지 자란다고 한다. 아래 사진은 1905년 미국 산타카탈리나 섬에서 잡힌 ... ...
바다에서 2m 덩치의 ‘버팔로피쉬’를 만난다면?
2017.02.05
볼 수 있는 2m
크기
의 버펄로피쉬 - 제임스정 제공 팔라우 바다에서 다이빙을 하며 바닷속에서 지내다보면 진귀한 광경이나 놀라운 일을 종종 겪는다. 오늘 소개할 녀석들은 물에서 만나면 깜짝 놀라는 거대한 물고기 ‘버팔로피쉬’다. 이름에 왜 이렇게 지어진지는 잘 모른다. 마치 떼를 지어 푸른 ... ...
스마트폰 속에 완벽한 입체영상 구현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높아져 디스플레이 최소 단위를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단위까지 낮춘 3cm
크기
의 실험용 디스플레이 제작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앞으로 2년 내에 대형 패널 형태로 제작해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을 실제로 구현할 계획이다. 황 그룹장은 “앞으로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차세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걸까. 앞에도 잠깐 언급했듯이 대기오염물질 가운데서도 미세먼지, 그 가운데서도
크기
가 200나노미터 미만인 극미세입자가 주범으로 여겨지고 있다. 우리나라 기준을 보면 보통 지름 10마이크로미터 미만을 미세먼지(PM10으로 표시), 지름 2.5마이크로미터 미만을 초미세먼지(PM2.5)로 나눈다. 따라서 ... ...
전기 필요없는 메모리 개발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31
두 개의 자구벽이 부딪힐 때 나타나는 강한
크기
의 스핀파의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연구진은 스핀파가 강자성체에 미치는 물리적 원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전기가 필요없는 ‘무(無)전력’ 메모리 소자 개발을 가능케 하는 물리 현상이 처음으로 규명됐다. 메모리 소자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더 달달한 토마토를 만들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30
책임지는 유전자는 토마토의
크기
를 줄이기도 했다. 따라서 단맛을 높이면 토마토의
크기
가 줄어들어, 현실적으로는 이 유전자를 맛있는 토마토 개발에 활용할 순 없었다. 대신 연구팀은 토마토의 단맛에 도움을 주는 휘발성 물질, 즉 냄새 물질은 늘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클라이 교수는 ... ...
얼음 구름 탄생하는 순간을 사진으로 찍었다!
과학동아
l
2017.01.30
만들었다. 공동 연구자인 미국 뉴욕주립대 해양대기과학과 다니엘 노프 교수는 “나노
크기
의 해상도를 가진 전자현미경으로 수백만 번 촬영한 사진을 이어붙이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구름이 생긴다”며 “기후변화에 구름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괴물 같은 대형 새우 잡혀
팝뉴스
l
2017.01.30
않다. 한편 일부는 사진 조작을 의심한다. 교묘하게 새우를 카메라에 가까이 위치시켜
크기
를 과장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오른쪽 엄지손가락은 심한 과장이 아니라는 걸 증명한다. 손가락에 비교해 봐도 새우는 보기 드물게 큰 것이 사실이다. 새우라기보다는 ‘괴물’의 느낌을 주는 게 사실이이서 ... ...
사람아빠, 돼지엄마 가진 ‘키메라 세포’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7.01.27
결합해 새로운 종을 만들어내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기관의
크기
가 인간과 유사한 돼지를 숙주로 선택하고 다능성 줄기세포를 돼지의 배아에 넣은 형태의 키메라 세포를 제작했다. 다능성 줄기세포는 어느 정도 발달을 이뤘지만 여전히 다른 세포로 분화할 가능성이 남은 ... ...
레고 구조대, 해양생물을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26
작가 제공 “왜 고래는 다른 생물들처럼 표본이 아닌 뼈를 전시했을까요?” “고래의
크기
가 너무 커 만들기 힘들어서 그런 건가요?” 기자단 친구들의 대답에 해설가님은 웃으며 고개를 저었어요. “고래가 다른 동물들에 비해 근육보다 지방층이 두껍기 때문이에요. 만약 고래 자체를 표본으로 ... ...
이전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