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난소암 발병 새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코닌 보이어 오타와대 의대병원 암연구및치료센터
교수
는 "폐경기 난소에서 왜 섬유화가 일어나는지, 메트포르민이 어떻게 난소 섬유화를 막는지 추가 연구를 할 계획"이라며 "이 연구를 통해 난소암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과, 난소암을 조기 진단하고 치료할 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남은 일은 그저 편견을 버리는 것뿐이었다. 마이클 마이어
교수
와 디디에 켈로즈
교수
는 페가수스자리 51번별에서 태양을 닮은 별을 공전하는 외계행성을 처음 찾았다. 분광기 기술 개발과 함께 관측 데이터를 편견과 고정관념 없이 해석한 덕에 전에는 도저히 발견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하던 ... ...
사외이사 KAIST
교수
들은 거수기? "안건 찬성률 99.8%"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어렵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KAIST
교수
를 사외이사로 영입한 기업 경영진들은 KAIST
교수
라는 유명세를 활용하는 것에만 관심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며 “KAIST가 운영하고 있는 ‘교원 교외활동 지침’을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행 교원 교외활동 지침은 교원이 기업의 비상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전기차 업체 테슬라를 세상에 등장시킨 老화학자들
2019.10.10
층상형 틈에 리튬 이온이 삽입 탈리하는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1985년 일본의 요시노
교수
가 흑연계활물질을 음극으로 이용하여 전지 개발을 하였다. 이는 현 세대 리튬 이온 전지의 시초 모델이 된다. 이 배터리의 경우 흑연계활물질 음극활물질과 LiCoO2 양극활물질을 사용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 ...
노벨상위원회 "화학상 수상자들, 전에 없던 신개념 배터리 만든 게 업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하지만 여전히 리튬 메탈을 가지고 있었다. 어떻게 바꿀까를 해결한 게 요시노 아키라
교수
다. 1980년대에 그는 석유의 찌꺼기를 격렬하게 열분해시켜서 만든 석유코크스를 산화코발트나 이황화타이나늄 대신 썼다. 석유코크스도 리튬 이온이 자유롭게 왔다갔다 할 수 있는 층을 가지고 있다. ... ...
노벨화학상 수상자 배출한 일본 화학회사 아사히가세이는 어떤 곳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소재 세계 1위의 중견기업이다. 요시노
교수
는 1972년 아사히가세이에 입사했다. 요시노
교수
는 아사히가세이에서 2000년 노벨상 수상자인 시라카와 히데키가 발견한 폴리아세틸렌을 연구하다 1982년 전지 연구개발부문 책임자를 맡으며 충전할 수 있는 전지를 개발하는 데 뛰어들었다. 요시노 ... ...
일본 과학 올해도 웃었다…노벨과학상만 24명째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24명(수상 당시 미국국적 2명 포함)이나 탄생했다. 요시노 아키라 일본 메이조대
교수
가 노벨물리학상 발표 후 취재진에 둘러 쌓여 있다. AP/연합뉴스 일본에서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급증한 것은 2000년대 들어서다. 2000년대에만 19명을 배출했다. 한국연구재단 관계자는 "일본은 19세기 후반부터 ... ...
"충전 가능한 세상 만든 과학자들"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만들기 위한 시작이었다. 구디너프
교수
가 만든 음극을 기본으로 해 요시노 아키라
교수
는 1985년 세계 최초로 상용 리튬 이온 배터리를 만들었다. 그는 양극에 반응성이 뛰어난 리튬을 사용하는 대신, 음극의 코발트 산화물처럼 리튬 이온을 넣을 수 있는 탄소재료인 석유코크스를 사용했다. ... ...
"전세계 척추동물 5종 중 1종 상품처럼 거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최소 8775종에 달하는 동물들이 곧 멸종위기에 처할 것으로 예측했다. 쉐퍼즈
교수
는 “야생동물 거래가 동물들을 멸종위기로 끌고 간다는 것이 불분명함에도 불구 이번 연구결과는 걱정스럽다”며 “이미 멸종의 위기에 서있는 동물들에겐 동물 거래로 인해 정말로 멸종에 다다를 수 있기 ... ...
우주의 구조와 진화 과정 계산하는 물리우주론, 노벨상을 거머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좀 더 구체적으로 밝혀내고 있다. 이번에 노벨상을 수상한 피블스
교수
또한 피블스
교수
는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계산을 통해 우주 형성 초기 단계에서 이런 흔적을 확인하고 새로운 연구 과정을 찾아냈다. 수치적으로 계산했을 뿐 아니라 정밀한 분석을 통해 우주의 기본 속성을 탐구했다. 이를 ... ...
이전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