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4,961건 검색되었습니다.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05
적극적으로 하지 않는 이유는 이 신금속이 상품화됐을 때의 시장성 때문. 아무래도
우주
항공 등 특수분야에 쓰임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것이다.아무튼 PMC102로 '첨단기술 수출1호'를 기록한 김영길 박사는 그 이후 연속해서 신금속을 내놓았으나 국내 산업여건과 딱 맞아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05
그리고 액체수소 층이 놓여있다.토성은 태양에서 받은 에너지보다 1.8배나 되는 에너지를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는데 이 에너지는 토성이 형성될 때부터 가지고 있던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목성과 마찬가지로 토성도 강한 자기장과 거대한 자기권을 가지고 있다. 자기축의 자전축에 대한 기울기는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05
및 폭발은하(Star burst galaxy) 특이은하(active galaxy)의 여러 관측적 특성 또 더 나아가서는
우주
흑체배경복사 및 대규모 물질분포에까지 이른다. 90년에 조직된 적외선천문학팀은 물리학과와 함께 당분간은 세계최대가 될 하와이 케크(keck)천문대의 적외선 사진기 개발을 마무리 하고있고 또 신설된 ... ...
거리 측정
과학동아
l
199105
함께 이것은 보다 정확하게 머나먼 은하수들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우주
의 나이에 관한 보다 정확한 수치가 제시됨으로써 우리는 보다 정확하게 어떻게 은하계가 형성되고 뭉쳐졌는가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따라서 지난 1987년의 초신성은 천문학자들에게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05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최초로 천체 관측에 망원경을 사용한 이후 망원경은
우주
로 향한 인간의 호기심을 만족시키는 가장 중요한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모든 아마추어 천체관측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망원경의 확보다. 망원경을 처음 사려는 사람들은 어떤 망원경을 선택해야할지 고민하게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05
사용하게 된다.장거리 측정에 사용되는 선속변조 방식의 대표적 예로는 1969년 아폴로
우주
선11호가 달 표면에 1백개의 반사경을 놓고 온 후 지구상에서 루비레이저를 사용하여 달까지의 거리 149,600,000㎞를 ±15㎝이내의 오차로 측정한 경우를 들 수 있다. 한편 단거리 측정에 많이 사용되는 측정기로는 ... ...
우주
정거장에 재순환시스템 도입돼
우주
에서 산소와 물을 자급자족한다
과학동아
l
199104
통해주면 물은 수소와 산소로 분해된다. 이때 생성된 수소는 연소실로 보내지고 산소는
우주
인의 숨쉬기에 쓰이므로 버릴 것이 하나도 없게 되는 셈이다.이미 산소재순환시스템은 수준급으로 작동하고 있다. 밀폐실 속의 사람들은 실제로 자신들이 만든 산소로 숨을 쉬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물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04
망원경을 애들이 갖고 노는 장난감 정도로 생각합니다. 이런 과학기술 마인드로는
우주
개발은 불가능합니다." 이혁기씨는 국민학교 4학년때부터 잡지에 난 망원경사진을 보고 이를 직접 만들어 보려고 문구점이나 안경점을 누비기 시작했고, 친구집에 가서도 망원경 재료가 될만한 것이면 ... ...
지구밖 생명체 연구와도 관련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104
항성의 위치를 정밀 측정하거나 행성의 적외선 복사를 잡아내기 위해서는 측정장소를
우주
공간으로 옮기거나 고도의 측정장비를 확보해야 한다. 90년대 후반에 쏘아올릴 예정인 적외선망원경도 이러한 계획의 일환이다. 또한 항성의 천구상 각도를 1천분의 1 (달면에 떨어진 10원짜리 동전을 볼 수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04
적게는 수백만년에서 수천만년을 달려온 빛들임을 생각해 본다면, 그 희미한 작은 빛은
우주
역사의 산증인인 셈이다. 은하관측은 우리 삶의 세계를 한껏 넓혀줄 것이다. 메시에(M) 넘버와 NGC넘버18세기 후반 프랑스의 아마추어천문학자인 메시에(Messier)는 소형망원경을 가지고 딥스카이(Deep Sky, 은하 ... ...
이전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