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불과하다는 것이다.환원론에 입각해 생명체를 창조하려는 노력은 현대에 들어서서 로봇
공학
의 힘을 빌어 그 구체적 성과물인 로봇을 낳았다. 그러나 로봇은 진정한 생명체가 아니다. 현대의 로봇은 산업현장에서부터 우주, 의료, 서비스 분야까지 인간의 행동을 대신하거나 모방하지만 어디까지나 ... ...
사각형 구멍 뚫는 삼각 드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오려낸다.이 도형은 원처럼 어느 방향으로나 폭이 일정하다. 이같은 도형은 독일
공학
자 프란츠 로이렉스가 19세기에 처음 만들어냈다. 때문에 ‘로이렉스 삼각형’이라고 불린다.로이렉스 삼각형은 폭이 일정하므로 두 평행선 사이를 바퀴처럼 굴러갈 수 있다. 이때 두 평행선 사이의 거리는 ... ...
한옥 초석에 스며든 지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한옥의 대부분 접합부위는 나무부재끼리의 짜맞춤으로 처리했고, 이 부분은 현대의 구조
공학
으로 얘기하면 에너지 흡수장치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한옥의 경우는 아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꺼번에 무너져내리는 법이 없다. 힘이 들면 힘이 드는데로 조금씩 찌그러지고 휘어지며 힘들다는 ... ...
작물 생산성 높여주는 이산화탄소 센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성능 엔진을 만들 수 있다.후각 담당하는 고체전해질KAIST 재료
공학
과 박종욱 교수가 이끄는 재료소 자연구실에서는 공기 속에 들어있는 다양한 물질을 직접 보여주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공기 중에서 중요한 물질을 선택해 이 물질이 얼마만큼 존재하는 지 ... ...
롤러코스터처럼 짜릿한
공학
설계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계획이다.한국 축구를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린 히딩크 감독처럼, 최교수는‘창의적
공학
설계’를 한단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그만의‘파워 프로그램’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있는 것이다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2002 한일월드컵에서 거리로 몰려나온 수많은 인파들은 대형 전광판을 통해 우리 선수들의 활약을 지켜봤다. 총천연색을 자랑하는 대형전광판은 많은 사람들을 감동과 흥분에 젖어들게 하기에 충분한 요소였다. 대형전광판이 만들어지는 과학적 원리는 무엇일까. 2002 한일월드컵에서 수많은 인파 ... ...
무령왕이 일본산 나무관에 잠든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지난 1971년 무령왕릉에서 시꺼먼 널판자가 출토됐다. 무령왕과 왕비의 관을 이루고 있던 나무다. 11조각의 판자는 발굴 당시 별 관심을 끌지 못했다. 하지만 이 나무판자에는 고대 한·일간의 관계를 밝혀줄 과학적 증거가 숨어 있다. 나무판은 일본에서만 자라는 신비의 나무로 이뤄졌다는데…. 역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산업폐기물을 처리하는 것도 모두 미생물의 작용 덕분이다. 또한 미생물을 이용한 생명
공학
기술로 항생물질이 개발되고 있으며, 유전자 치료의 도구로도 미생물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미생물의 힘’은 75가지의 짧은 글을 통해 미생물의 특성과 행동, 그리고 인간 역사에 미친 미생물의 영향을 ... ...
연료전지 실용화하는 얇은 막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역할이 더 효율적 이라는 사실까지 알아냈다. 연구실에서 제공한 실마리를 바탕으로
공학
자들은 백금을 대체할 전극을 만들 수 있을 전망이다. 10억분의 1g의 변화 측정하는 저울 개발반도체는 실리콘으로 된 얇은 판(웨이퍼)을 이용해만든다. 이때 얇고 가지런히 만들어진 판을 사용해야반도체를 ... ...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나가는 병사에게 무기와 같은 셈이다.그래서 현재 생명과학자들은 갖가지 최첨단 유전
공학
방법들을 동원해서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유용유전자를 발굴하고자 한다. 인간게놈프로젝트처럼 식물에서는 애기장대와 벼의 전체 게놈이 해독됐다. 이는 유용유전자 발굴 연구에 날개를 달아준 것과 같다. ... ...
이전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