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제4염색체」가 노화의 원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관계하는 유잔자의 정체와 그 메커니즘을 알아내면 거꾸로 영원히 증식을 계속하는 암
세포
의 증식을 억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불로초(不老草)를 구하려고 백방으로 노력했던 진시황의 소원을 현대의 유전학자들이 풀 수 있을지 자못 궁금하다 ... ...
세라믹입자를 백신제조에 활용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세라믹입자들은 앞으로 약물수송에도 이용될 수 있다. 약물의 분자모양을 지정된 특정
세포
의 수용체에 잘 맞도록 재단할 수만 있다면 이 일은 그리 힘들이지 않고 성취될 것으로 보인다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않으면 토해 내듯이 음식을 먹은 뒤 허리를 구부리면 그대로 올라올 것 같았습니다. 뇌
세포
들도 전부 떠있는 느낌이었어요. 얼굴과 머리가 모두 팽팽해져 퉁퉁 부은 것 같더라구요"지난 해 12월 지상 4백1km 상공에서 1주일 간 우주비행을 한 일본 TBS방송 아키야마 도요히로기자의 체험담이다.그는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질문은 바로 그런 관점에서 제기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아메바와 같은 단순한 초기
세포
로부터 현재의 1백50만종에 달하는 다양한 생물로의 진화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느냐 하는 회의에서 나온 듯 하다.그러나 진화를 설명하는 돌연변이는 그 과학적 배경이 든든하다. 첫째 돌연변이는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다. 미로에 갇힌 실험용동물이 빠져나가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면 그들 뇌속의 신경
세포
들이 보다 분주하게 상호작용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의 경우에도 지적 훈련을 계속하면 뇌의 퇴화를 막을 수 있으리란 기대가 강해지고 있다.많은 연구들이 아직 진행중에 있지만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각자의 발전은 상호상승작용을 일으킨다.17세기에 현미경이라는 기기의 발명이
세포
의 발견을 불러와 생물학에 일대 혁명을 몰고 왔듯이 과학은 기술에 원용돼 새로운 발명품을 만들어내고 이 발명품은 다시 한차원높은 과학연구를 위해 사용된다. 양자역학에 근거해 만들어진 레이저가 오늘날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70년대에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여기 속하는 항생제로는 세파맨돌(Cefamandole)
세포
티암(Cefotiam) 세폭시틴(Cefoxitin) 세푸록심(Cefuroxime) 등이 있다. 그러나 이 2세대 세팔로스포린들도 녹농균에 대해서는 뾰족한 항균력을 보여주지 못했다.70년대 말에 이르러 여러 종의 2세대 세팔로스포린을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개발됐다. 이와 같은 연구의 진전은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응고혈액의 용해, 암
세포
의 추적 및 파괴 등 의학분야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20세기 후반기는 생명과학의 시대라고 한다. 눈부신 물질문명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생명현상의 심오한 비밀은 대부분이 아직도 신비의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인체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이 용이해졌고 현미경으로 생물의 기본구조를 밝히는
세포
학이 발전된다. 이어서 다윈의 진화연구가 이어지고 생명의 기원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된 것이다.연금술과 약을 만드는 기술을 통해 축적된 화학지식들은 18세기 라브와지에에 의해 근대화학으로 분리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먹거나 생식을 할 때 그들은 후각
세포
를 십분 활용하고 있다.이렇게 뇌가 할 일을 후각
세포
가 대신하기 때문에 뇌와 코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는 오래전부터 진행돼 왔다. 실제로 코는 발생초기의 뇌가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연구하는 사람에게 좋은 연구대상이 된다. 린다교수도 ... ...
이전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