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공격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방법은 유오플로케팔루스를 뒤집는 것. 하지만 앞발을 어깨
아래
에 접어 넣은 채 납작 엎드리고 있는 2t이나 되는 바위같은 몸체를 뒤집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완전히 자란 유오플로케팔루스의 몸길이는 5m로 소형버스 만하다.유오플로케팔루스의 꼬리 끝에는 두개의 뼈가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은 선을 동쪽으로 연장해 가면 하얀 솜뭉치처럼 빛나는 모습이다. 그리고 그 왼쪽
아래
에는 별들이 비스듬히 누운 커다란 V자 모양을 그리고 있는 히아데스 성단이 있다.플레이아데스에는 보일 듯 말 듯 깜박이는 작은 별들이 ‘물음표(?)’ 모양으로 모여 있는데 우리 할머니들은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교과서가 의도한 것이었을까. 정말 교과서의 의도가 잉크는 밀도가 커서 밀도가 작은 물
아래
로 가라앉고, 오랜 시간을 두었을 때 잉크가 물 속으로 골고루 퍼져 나간다는 것으로부터 물 또는 잉크분자가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추리하도록 하는 것일까. 그것은 아닐 것이다.교과서의 후반부에서는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대부분의 사람들은 컴퓨터 작업을 할 때 목을 앞으로 내밀고 있다.이때 턱이 점점
아래
로 처져 자신도 모르게 입을 벌리고 숨을 쉬게 된다. 물론 작업이 끝날 때까지 자세의 변화는 좀처럼 없다. 이 과정이 오랫동안 반복되면 입술 모양이 변해 똑똑한 발음이 어려워진다. 즉 고저강약의 변화가 적고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알아보기 위해 일단 가장 잘 보존된 공룡알 한개를 조심스레 둥지에서 분리해 보니 그
아래
에 깨어지지 않은 완전한 알들이 촘촘히 묻혀있는 것이 보였다. 공룡알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앤드루스가 처음 고비사막에서 발견한 공룡둥지의 알과 같은 것이었다. 과거 이러한 형태의 알들은 ... ...
서리 맞은 단풍은 꽃 보다 붉지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내린 후에 든다’는 속설은 과학적으로 보면 조금 잘못된 것이다. 서리는 기온이 빙점
아래
로 떨어질 때 공기중의 수증기가 지면에나 주변 물체에 붙어 응결된 얼음 결정이다. 가을이 되면서 밤 기온이 떨어져 영하로 내려가면 처음에는 물방울이 맺혀 이슬이 된다. 하지만 점차 온도가 더 내려가면 ... ...
고대 화성에 미생물 있었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미세 박테리아에 의해 생선됐음을 말해준다.암석이 압력과 열을 받아 변형되고 지충
아래
수억년 동안 묻혀있게 되면 화석다운 화삭을 함유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때문에 특정 형태의 자철석을 검출함으로써 미생물의 존재를 밝혀내는 이번의 연구는 생명의 기원을 찾는 획기적인 방법이 될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이것은 과거 수천만년 동안 벌어진 판의 움직임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가정
아래
에서 설명한 한가지 시나리오일 뿐이다. 언제 이런 일이 벌어질지 정확히 예견하기 어렵다. 일본 국립천문대가 발표한 지구위치정보시스템(GPS)을 분석해보면 최소한 1천만년 후까지 동해가 닫히는 ‘경향’이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큰 망원경이면 9등급의 NGC1316을 비롯한 크고 작은 9개의 은하를 볼 수 있다. 별자리 중앙
아래
에는 우리 국부은하군의 구성원인 작은 은하 하나와 몇 개의 구상성단으로 이루어진 공 모양의 화로은하계가 있다.10월의 천문현상이달은 찬란히 빛나는 행성들로 가을 밤하늘이 밝아질 것 같다. 가장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불임클리닉에서 이를 보관한다. 이 여분의 수정란은 폐기되거나 불임부부의 동의
아래
실험용으로 사용되곤 한다.복제의 필요성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얻은 배아는 수많은 난치병 환자를 치료하기에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따라서 배아를 시험관에서 대량으로 배양하는 일이 필요하다.원리는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