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세계반장선거 내가 진짜 리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평등한 관계를 맺고 있답니다. 돌고래의 리더는 사람으로 치면 골목대장 같은 존재지요.
여러
분은 어떤 동물이 가장 반장에 어울린다고 생각하나요? 기사를 다 읽고 블로그(ksdsuper.blog.me)에서 투표해 주세요. 투표하고 덧글을 남겨 준 친구들 가운데 3명을 뽑아 선물을 드려요~!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튜브가 있는 형태였다. 이 튜브는 물을 밀어내는 성질(소수성)이 있는데, 이런 튜브
여러
개를 마치 땅에 나무를 심듯 세로로 고정시켜 두께 1cm 정도의 재료를 만들었다. 그런 뒤 재료의 위쪽 표면에 물을 끌어들이는 친수성 재료를 붙였다. 맨 위에서 친수성 재료가 공기 중의 습기를 끌어당기면,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많은 데 반해 아직 규명된 게 별로 없어서 과학자들이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스월은
여러
가지 기묘한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흰색이라는 사실 자체가 대단히 이례적이다. 천체 표면의 광물 입자는 태양에서 날아온 우주선과 미세한 유성체에 노출되면서 색이 검게 변하는 ‘우주 풍화’ 현상을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의해서 생겨난 현상을 의미한다. 한 마리의 개미가 혼자 집을 지을 수는 없지만,
여러
마리의 개미가 상호작용을 통해 정교한 개미집을 지을 수 있는 것도 창발현상의 대표적 예시다. 트랜스포머 영화 속 로봇들이 자발적으로 힘을 합쳐 디셉티콘을 물리치는 것과, 수많은 작은 구슬들이 모여 하나의 ... ...
유럽 여행을 위해 환전하기!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기다리던 여름 방학! 방학 때 한 번쯤은 즐거운 여행을 훌쩍 떠나 보는 건 어떨까요? 일상을 벗어나 새로운 세상에서 만나는 재미있는 스토리텔링 문제들을 만 ... 우리나라 돈을 얼마나 준비해야 하는지를 구하세요.(다양한 풀이 과정이 나올 수 있으니
여러
가지 방법으로 풀어 보세요. ... ...
K-Pop 스타도 깜짝 놀란 홀로그램 콘서트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한 개의 시야각은 2~3°에 불과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팀들이 이 작은 화면을
여러
개 붙여 시야각과 화면의 크기를 넓히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병호 교수팀은 12개의 공간광변조기를 붙여 약 23°의 시야각 내에서 움직이는 홀로그램을 만들 수 있었다.움직이는 홀로그램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화면의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수 있다.사실 여기서 소개한 노선은 아주 간단하기 때문에 특별한 수학 공식 없이
여러
번 숫자를 대입해서 운행표를 짤 수 있다. 하지만 노선이 십여 개가 되고, 환승역도 수십 개가 넘는다면 모든 환승역에서 승객들이 기다리지 않고 갈아타기란 불가능하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역에서 최소의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원자력 발전소마저 무너졌다. 스마트폰 덕분에 사고 당시 쓰나미가 몰려오던 모습은
여러
각도에서 찍혔다. 1t이 넘는 자동차들이 종이배 흐르듯 물살에 휘말리고, 집이 힘없이 무너지는 광경은 이미 지나간 동영상임에도 몸을 떨리게 만든다. 당시 최대 파고는 40.5m에 달했으며 해안에서 10km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뜻이지요. 과학이 더 발전해 동물 실험이 아예 없어질 날이 올 때까지요. 그 때까진
여러
분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항상 노력하는 과학자와 우리 동물들을 생각해 줄래요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특별하게 다가왔어요. 수술을 받았던 학기에는 강의가 너무 하고 싶었어요. 그러다 탈도
여러
번 났지요. 한 학생이 그랬어요. ‘왜 이 지경이 되도록 강의하냐고’. 정말 그렇게 생각했어요. 내가 이 시간 여기에 있는 게 가장 쓸모 있다고요.” 10년 뒤 은하 연구에 혁명 올 것“천문학이 뭐냐”고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