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462건 검색되었습니다.
[류인균의 우울증 이기기]링컨의 우울증
동아일보
l
2013.09.03
가꾸는 것이 결국 나의 행복, 내 가족의 행복을 지키는 길이 아닐까. 류인균 이화여대
뇌
융합과학연구원장 약대 석좌교수 [화제의 뉴스] - 이석기 “철탑 파괴” 무력투쟁 방법 언급했다 - 성폭행범, 女기숙사 활개…“딸 보내겠나” - “남편 8억 보험금 노려 불지르다 함께 숨져” - 슬픈 두 바퀴…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현재 플로렌스 섬에 살고 있는 피그미족인 람파사사의 조상으로 ‘이상소두증’이라는,
뇌
가 비정상적으로 작은 질환에 걸린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두개골 전문가인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딘 폴크 교수 등 여러 전문가들이 재반박하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한편 호빗의 ... ...
[클리닉 리포트]깨고나면 개운한 잠, 최고의 보약입니다
동아일보
l
2013.09.02
수 있겠다는 생각에 찬물로 샤워를 하거나 힘든 운동으로 몸을 지치게 하는 것은 오히려
뇌
에서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을 보다 활성화하고 각성 상태를 증가시켜 숙면에 해가 된다. 또 기름진 치킨을 곁들인 시원한 맥주나 수박으로 만든 화채 등 수분이 많은 야식은 이뇨작용으로 수면을 방해한다. ... ...
매의 눈, 시력 좋은 이유는…
동아닷컴
l
2013.09.02
황반이 2개라 사람보다 4~8배 멀리 볼 수 있다는 것. 특히 조류는 상대적으로 머리에서
뇌
보다 눈의 비율이 높아 뛰어난 시력을 자랑하며 그 중 육식 조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 기사제보 jjh@donga.com [화제의 뉴스] - 이석기 “철탑 파괴” 무력투쟁 방법 언급했다 - ... ...
뇌
유전자 치료, 건망증 고칠 수 있다
동아일보
l
2013.08.30
미친다는 가설을 세운 뒤 쥐 실험을 통해 이를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 건강한 젊은 쥐의
뇌
에서 RbAp48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하자 마치 늙은 쥐가 된 것처럼 기억력 저하 현상이 나타났다. 해당 유전자의 활동을 회복시켜 주자 기억력도 정상으로 돌아왔다. 늙은 쥐의 해마에서 RbAp48 유전자의 활동을 ... ...
줄기세포로 인간 '
뇌
' 첫 배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3.08.30
않기 때문이다. 연구를 이끈 매들린 랭커스터 박사는 “이번에 만든 인공
뇌
는 각종
뇌
질환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에서 혁신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내' 생각대로 '그'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28
있어서 다양한 신경 제어가 어려울 뿐더러 자기장을 이용해
뇌
를 자극하는 방법은
뇌
피질의 초점 범위가 정밀하지 못하다"며 "EEG도 아직까지 인간의 다양한 의도를 골고루 반영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손가락을 정확히 움직였다기보다 아직까지는 경련에 가까운 것 ... ...
“임신중 엄마가 한말 태아가 듣고 느낀다”
동아일보
l
2013.08.28
그 결과 태아 시절 타타타나 타토타를 되풀이해서 들은 아기들이 훨씬 더 강력한
뇌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높낮이와 세기는 물론이고 타토타로 바뀐 중간 음절도 구분해 냈다. 언어 자극 훈련을 받지 않은 신생아는 음절의 차이와 높낮이 등을 잘 구분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는 태아도 신생아와 ... ...
눈가 주름, 엄마 때문이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경우 이 손상도 함께 물려받게 돼, 자손들은 노화가 더 신속하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뇌
같은 장기의 기형을 초래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슨 교수는 “미토콘드리아가 노화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라며 “앞으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 ...
뇌
세포 속 시냅스 신호 전달 과정 밝혀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27
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2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뇌
세포 속 신경전달 과정. 칼슘이온이 확산되면서 주변에 있는 세포들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 연구재단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