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뉴스
"
핵심
"(으)로 총 6,482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시대에 필요한 교육은 비판적 사고 함양"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질문할 수 있어야 한다”며 비판적 사고를 강조했다. 그가 주장하는 비판적 사고의
핵심
은 감정이나 편견에 사로잡히지 않고 권위에 맹종하지 않는 것이다. 또 그는 “기계는 개별적으로 무언가를 이해할 순 있지만 전체적으로 통합된 방식의 분석은 할 수 없다”며 시스템적 사고의 중요성도 ... ...
허울좋은 5G 최초 상용화…상상이 현실 되기엔 너무 먼 5G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있다. 하지만 신호 데이터를 주고받는 수준의 초기 개념 커넥티드카 서비스에서 5G가
핵심
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있다. 양현종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구글 웨이모와 같은 현 시점에서의 자율주행차는 현재 통신기술과 센서 기술만으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 ...
차세대 반도체 성능 좌우할 초박막층 거칠기 관리 기준 세계 최초 정의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지점을 최초로 정의하는 데 성공했다. 정보기술(IT)의 발달과 함께 IT 기술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반도체도 진화 중이다. 대표적인 예가 다층 구조다. 기존 반도체의 특징이었던 2차원 구조를 넘어 2차원 박막층을 쌓는 다층 구조가 탄생하면서 반도체는 더 빨라지고 용량도 커지고 있다. 차세대 ... ...
한화시스템, 성균관대와 'AI·스마트팩토리' 기술 협력
연합뉴스
l
2019.04.04
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분야로 꼽히는 제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제조산업에 디지털 혁명을 실현하는 것으로, 국내에서는 스마트팩토리가 대표적인 사례로 추진되고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측은 AI 알고리즘 및 ... ...
지구온난화 주범 메탄가스를 메탄올로 변환시키는 효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거의 같은 수준의 활성을 갖는 효소 나노입자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메탄산화효소의
핵심
활성부위를 표출시킨 형태의 새로운 효소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이 효소 나노입자는 빠른 시간에 대장균 세포내에서 간편하게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또 연구팀은 효소 나노입자를 다공성 하드로겔에 ... ...
불탄 문화재 쌍둥이 가상공간에 만드는 복원기술, 한국·이탈리아 손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더 정확한 정보를 얻는다. 이런 기술을 '디지털 트윈' 기술이라 부르는데 문화재 복원의
핵심
기술로 불린다. 한국과 이탈리아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문화재를 복원하기 위해 양국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달 2일부터 4일까지 문화재 재난 대응을 위한 ‘제 ... ...
포항공대-연세대 국내 첫 블록체인 캠퍼스 만든다
연합뉴스
l
2019.04.02
기반을 마련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세대 김용학 총장은 "4차 산업혁명
핵심
중 하나인 블록체인 기술은 큰 기반장치나 투자 없이도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수 있는 매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세대 제공 ... ...
액체헬륨 가격은 왜 치솟았나…장기화 땐 핵융합·발사체 사업 차질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MRI) 장치와 핵융합로, 한국형발사체 등에 활용되는 액체 헬륨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핵심
수출국인 미국이 액체 헬륨을 생산하는 광산 한 곳을 폐쇄하면서 수급에 균형이 깨졌기 때문이다. 액체 헬륨 수급 불균형이 MRI를 포함해 극저온 초전도자석을 활용하는 과학 실험에 장기적인 불안 요소로 ... ...
UNIST 연구진, 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실리콘 태양전지 공정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최 교수는 “태양광 산업
핵심
원천 기술을 확보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춰야 살아남을 수 있다”며 “국내 최초로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에 도전해 저비용·고효율을 달성한 이번 연구가 국내 태양광 산업 성장에 ... ...
‘뇌를 닮은 컴퓨터’에 쓰일 '뉴로모픽'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처리해 적은 에너지로 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뇌를 닮은(뉴로모픽) 컴퓨터’의
핵심
소자를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기존 공정을 활용해 제조할 수 있어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이장식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김민규 연구원팀이 자석처럼 외부에서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