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뉴스
"
현상
"(으)로 총 6,79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융합포럼]“2100년 인간은 전자두뇌를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경우가 많은데, 다양한 신호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현상
을 뜻하는 말”이라며 “이런
현상
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고 표현하고 계산할 수 있는 차세대 ‘양자 컴퓨터’가 개발된다면 기존 컴퓨터로 몇 번씩 반복해서 해야 하는 다양한 계산을 한 번에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양자컴퓨터가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가득 채우면 물이 사라지는 마법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21
짧은 쪽을 통해 계속 물을 끌어당겨 컵에 있는 물을 바닥으로 떨어지게 만들어요. 이
현상
은 잔 속의 물이 줄어들어 수면이 짧은 빨대의 입구로 내려갈 때까지 계속 일어난답니다. ● 왜 그럴까? 욕심쟁이를 혼내는 잔, 계영배의 비밀! ① 조선 시대에 쓰인 계영배의 모습. 기둥이 있는 잔 ... ...
도로위 차량 10%만 자율주행차로 바꿔도 평균속도 2배 올라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제공 차량 정체
현상
은 브레이크를 밟는 운전자들이 많을 때 주로 발생한다. 뒷차가 앞차와 거의 같은 시간에 브레이크를 밟기 어렵기 때문이다. 운전자의 인식 속도에 따라 브레이크를 밟는 시간과 방식은 달라진다. 급정차나 급제동을 하는 차량이 많을수록 도로 정체는 심해질 수밖에 없다. ... ...
인간이 생존하기 가장 어려웠던 해는 536년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카일 하퍼 미국 오클라호마대 서양고전학및문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자연
현상
과 인류 역사와의 관계를 밝혀낸 매우 중요한 사례”라며 향후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 ...
항암제 치료 효과 한 눈에 검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생체조직에 비추면, 이 빛을 흡수한 물질이 미세한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연구진은 이
현상
을 이용해 암세포 주변의 혈관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고성능 PAM을 새롭게 개발했다. 특히 혈관은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PAM을 이용하면 작은 모세혈관까지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연구진이 ... ...
펄펄 나는 80세, 걷기 힘든 60세 노년의 건강 좌우하는 ‘근감소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취리히연방공대 교수(2002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도 “골다공증이나 알츠하이머병도 노화
현상
으로 여겨졌던 때가 있었다. 그동안 간과됐던 근감소증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2018.11.18
기본 물리 상수를 이용해 재정의했다. 손에 잡히지 않는 에너지를 포함한 모든 물리
현상
이 기본 상수에 근거한다고 믿는 양자 물리학적 관점이 적용됐다. 전류의 기본 단위인 암페어(A)를 전자 1개가 가진 전기의 양을 의미하는 '기본전하(e)'값에 기반해 새롭게 정의하는 내용이 확정됐다. ... ...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는 시한폭탄…당장 생활방식부터 바꿔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지구 시스템이 겪은 변화를 토대로 지구라는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
들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예측한 결과다. 리차드슨 교수는 “만약 2100년 지구의 평균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2도 이상 높아진다면, 지구는 돌이킬 수 없이 ‘핫하우스 지구’를 향해 가게 된다”며 “인류의 ... ...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복잡한 도시에 염증을 느껴 농촌으로 돌아가는 귀농
현상
은 농업을 활성화시키고 있어요. 인공지능으로 오이를 분류하는 기계를 만든 일본 농부 마코토 코이케가 대표적인 사례예요. 자동차 회사에서 설계자로 일하던 코이케는 도시 생활에 싫증을 느껴 2015년부터 ... ...
나도 모르는 나의 수면 지연 습관, SNS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몸의 규칙적인 리듬을 깬다고 해서 흔히 ‘사회적 시차’라고 불린다. 그런데 이런
현상
을 부추기는 가장 큰 요원이 낮의 길이 등 자연 조건이 아니라 휴가의 유무 등 사회적 조건인 것으로 드러났다. 마이클 러스트 미국 시카고대 분자유전학과 교수팀은 SNS 트위터를 사용하는 미국 시민 24만 600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