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10
부모 중 한 사람이 당뇨병을 앓고 있으면 자녀의 15%에게, 부모가 모두 당뇨병 환자이면 자녀의 30%에게 당뇨병이 유전된다고 한다. 당뇨병뿐 아니라 암과 고혈압 같은 대부분의 성인 ... 작고 소박한 꿈을 하나씩 이루면서 언젠가는 한국 과학에 기여하고 싶다는 김
교수
는 어딘가 닮았다. ... ...
항공우주추진공학
과학동아
l
200910
1. 항공우주추진공학이 무엇인가요?항공우주추진공학은 대기권 내를 비행하는 항공기의 터보제트엔진, 램제트엔진, 스크램제트엔진 등의 공기흡입 ... 이것저것 많은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앞으로 공부를 해나가는데
교수
님이 해주셨던 말들이 도움이 될 것 같다.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10
자기공명뇌동맥혈관법으로 박사학위를 바은 뒤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영상의학과
교수
로 일하고 있다. 주전공인 방사선학을 이용해 엑스레이아트라는 새로운 예술 장르를 개척한 그는 과학과 의학, 그리고 예술을 사랑하는 진정한 괴짜 의사다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10
인식할 수 있지만 구름의 모양까지 구별해 영상으로 표현하기는 어렵단다. 하지만 이
교수
는 “연구원들과 함께 고민하고 그에 맞게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다 보면 못할 것도 없다”며 호탕하게 웃었다. 앞으로 그와 연구원들이 어떤 방법으로 과학과 예술을 융합해 세상을 향해 메시지를 던질지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10
3이 활성화하면서 세포 증식을 억제해 혈관이 다시 막히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교수
는 “최대 90%까지 혈관재협착을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이외에도 쓸개즙이 간에서 만들어져 쓸개로 갈 때 지나가는 통로(담도)에 돌멩이(담석)가 생겼을 때도 풍선을 사용한다. 내시경으로 담석의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10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5월 중앙대 의대 비뇨기과 명순철
교수
와 중앙대 약대 이민원
교수
의 공동 연구팀은 옥수수수염 추출물에서 전립선비대증을 막는 활성물질 3가지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쥐 70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 그룹에는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페닐에 프린과 흥분 전달 물질인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10
대학원생인 양 지아오가 역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방법을 찾아냈다.한상근
교수
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학자 최석정의 저서‘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 ...
삼척동자와 도량형
과학동아
l
200910
어떤 일이 너무 분명해 변명의 여지가 없을 때 ‘삼척동자(三尺童子)도 모두 아는 일’이라는 말을 쓴다. 여기서 삼척동자는 키가 3척 정도인 5~6세가량의 어린아이를 말하는데, 아직 사물이나 사리를 구별하고 판단할 역량이 부족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삼척동자란 말은 송나라의 호전(胡銓, 1102~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10
이해만 잘해도 국제적으로도 견줄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정
교수
는 항공우주공학을 꿈꾸는 학생들에게 전하는 한마디도 잊지 않았다.“지금 하는 모든 것을 열심히 해두라는 말을 하고 싶어요. 항공우주공학은 거의 모든 과학의 집합입니다. 저는 화학이 정말 싫어서 필수 ...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
수학동아
l
200910
18세기까지 서양 수학자나 지식인의 음수에 대한 생각을 들어 봤다. 그 당시 최고의 수학책을 보면 이 때까지도 수학자들은 음의 기호와 뺄셈을 혼동했다. 대수학의 아버지라 부르는 디오판토스조차도 음수를 방정식의 해로 인정하지 않았다. 좌표를 처음 생각해 냈던 근대 철학의 아버지 데카르트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