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8월의 페르세우스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유성을 볼 수 있는 시기는 8월 13일 새벽이다. 이
날
관측이 여의치 않다면 12일 새벽이나 14일 새벽에도 상당수의 유성을 볼 수 있다.통상의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지나가면 한 시간에 50~100개 가량의 유성이 떨어진다. 유성들은 페르세우스자리에 위치한 복사점을 ... ...
똥 박사님! 똥은 다 어디로 갔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똥을 연구하는 연구실이니 얼마나 냄새가 지독할까요? 똥 박사님의 연구실에 가는
날
, 걱정이 이만 저만 아니었답니다. 아니 그런데 웬일이죠? 연구실안에서는 아무 냄새도 나지 않는 거예요. 박사님이 요즘은 똥 연구를 하지 않는 걸까요?하지만 연구실 탁자 위에 놓여 있는 정화 장치에서는 시커먼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7년 뒤 이제 디스커버리 차례가 됐다. 디스커버리가 노장의 저력을 보여 줄
날
이 다가오고 있다.디스커버리, 누가 타나?- 선장 : 아일린 콜린스(49). 미 공군 대령. 1999년 미국 여성 최초로 우주선장에 임명돼 컬럼비아호 키를 잡았다. 이번이 그녀의 4번째 우주 비행.- 조종사 : 제임스 켈리(41). 미 공군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결과 프로펠러보다 지느러미가 훨씬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느러미는 프로펠러의
날
보다 더 넓은 면적의 물을 밀어내기 때문에 그만큼 더 큰 추진력을 얻었다. 결과적으로 프로펠러의 에너지 효율은 70%인데 비해 로봇 참치의 지느러미는 87%나 됐다.로봇 물고기를 개발하는 데는 군사적인 ... ...
3. 공포증의 물귀신 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바로 회피행동이다. 공포 대상을 피하면 ‘두려운 대상을 직면하면 위험한 일이 일어
날
것’이라는 자신의 믿음을 반박할 기회가 없어진다. ‘위험한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배우지도 못한다. 이로 인해 공포증이 ‘생생하게’ 유지된다.공포증에서 해방되길 원하는가. 그렇다면 ... ...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탱크에 물을 채웠다 빼는 기존 방식과 달리 이번 모델에서는 항공기를 본 떠 만든 작은
날
개가 그 역할을 맡는다. 비행기가 뜨는 원리를 역으로 이용한 것이다. 자세 제어 장치가 기체 속도를 줄이거나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한다. 개발자인 그레이엄 호크 박사는“일반 잠수정과 딥플라이트는 ... ...
"세상에서 제일 잘 튀는 공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외야 쪽으로
날
아갈 때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면서 힘을 배출합니다. 덕분에 멀리
날
아갈 수 있는 것이죠. 야구공에 탄성이 없다면 홈런왕 이승엽은 탄생할 수 없었을 거예요.탄성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멋진 공을 만든 과학해결사들 덕분에 누리의 마음은 든든하다. 이제 미스터 X의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시작했다.이제 한국 우주센터에서 한국 발사체에 한국 위성을 싣고 우주를 향할
날
이 머지않았다. 지금 한국은 우주 기술의 ‘메이드 인 코리아’를 위해 무한질주 중이다. 한국 위성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지금까지 한국에서 쏘아올린 위성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1992년과 1993년, 1999년에 각각 ... ...
외롭지 않은 섬, 독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그
날
은 일본 정부가 러일 전쟁 중에 일방적으로 독도를 자기 나라 땅이라 주장한
날
입니다. 국민들의 독도에 대한 관심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이때,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이 먼저 독도에 대해서 잘 알아두는 것도 좋겠죠? 독도가 우리에게 왜 중요한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함께 ... ...
포플러로 깨끗한 세상을 꿈꾸는 문학소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문학소녀였던 교수님이 과학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교수님은 어느
날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까라마죠프가의 형제들’이란 책을 읽었는데, 무엇이 옳고 그른지 정말 알 수가 없었다고 해요. 그때부터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하기 힘든 문학보다는 실험을 통해 정확한 결과가 나오는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