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방세포 수, 20세 이후 일정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그 결과 참가자들의 지방세포 개수는 20세까지 늘어났고 그 뒤부터는 일정했다.스팔딩
박사
는 “일반적으로 지방세포가 없어진 만큼 체내에서 재생산된다”며 “성인의 체내에서 지방세포가 죽고 사는 메커니즘이 밝혀지면 비만환자 치료에 새로운 길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 ...
산불로 생긴 숯, 온실가스의 숨은 주범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부식토에서 탄소가 더 많이 줄어들었다고 ‘사이언스’ 5월 2일자에 발표했다.바들레
박사
는 “구멍이 많은 숯 표면이 부식토의 유기화합물을 흡착해 미생물이 자라는 데 유리한 터전이 된 것”이라며 “그 결과 부식토가 빨리 분해돼 탄소가 많이 유출됐다”고 설명했다 ... ...
AI와 싸우는 첫 번째 강력 백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890~1972 미국의 전자공학자·물리학자 그로브시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1923년 예일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양극과 음극 사이에 그리드를 하나 또는 둘 가진 열음극방전관(熱陰極放電管 ; 음극을 가열하여 열전자방출을 이용하는 방전관) 그리드 제어 방전관(制御放電管)으로 분류되나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떨어져 나온다고 가정했다.영국 런던 유니버시티칼리지 신경학연구소 사라 타브리지
박사
팀은 프리온 조각의 세포독성은 세포내 프로테아좀의 작용을 방해한 결과라는 연구결과를 2007년 4월 27일자 ‘몰리큘러 셀’에 발표했다. 세포는 소포체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가운데 잘못된 것을 제거하기 ... ...
스무 살 성인 된 V3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존경하는 인물 _ 안철수 1988 WED 06. 01세상의 빛을 보다오늘은 내가 태어난 날. 의대
박사
과정에 다니던 학생 안철수가 나를 만들었다. 그는 나의 탄생 스토리를 이렇게 기억했다.“요즘 브레인 바이러스가 말썽이다. 집에 와서 내 컴퓨터를 뒤져보니, 아니나 다를까 디스켓 2장에 이 녀석이 들어있다. ... ...
컴퓨터에서 탄소나노튜브 실험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움직임이 사실적으로 시뮬레이션된다.지난해에는 한국화학연구원 장현주
박사
팀과 함께 양자역학적인 효과를 고려한 다중스케일 계산법을 개발했다. 결함이 없거나 무시할 수 있는 부위에서는 뉴턴의 운동법칙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결함이 있는 부위에서는 양자역학적인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마다가스카르 섬에 살다가 멸종한 동물의 대표적인 예다. 영국의 동물학자 머빈 브라운
박사
의 1978년 논문에 따르면 코끼리 새는 알의 무게만 10kg이 넘어 그걸로 150인분의 오믈렛을 만들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하지 만 그 큰 몸집의 새는 현재 지구상에 없다.코끼리 새 뿐만 아니라 자이언트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실험이 있다. 캐나다 맥마스터대 다프네 마우어
박사
팀은 깜깜한 곳에서 생후 두세 달 된 아기에게 공을 줘 만지게 했다. 공을 회수하고 불을 켠 뒤 한 손에는 공을, 다른 손에는 정육면체를 잡고 보여줬다. 이때 아이는 좀 전에 갖고 놀았던 공을 바라보는 시간이 더 ...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내부 온도가 200℃ 이상으로 높아진다. 미국 농업연구팀 가금류연구실 데이비드 스웨인
박사
가 2007년 ‘식량생산저널’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AI바이러스는 닭고기 100g을 기준으로 70℃에서 5.5초 안에 죽는다. 매립한 뒤 땅 속 온도는 AI바이러스가 죽기에 충분하다는 말이다.그러나 매립한 뒤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높아지면 한지성 나비가 북쪽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최근 국립산림과학원 권태성
박사
와 나비학자 김성수 선생은 과거 자료가 있는 광릉(1950년대)과 파주 고령산(1970년대)의 나비를 조사해 이런 경향을 확인했다. 즉 과거에 비해 종별 밀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5종 가운데 남방계는 3종이 포함된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