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20세기의 마이크론 디바이스를 대체할 21세기 나노 디바이스 제작에는 SPM의 역할이 지대하다. 반대로 새로운 나노 디바이스는 SPM의 기능향상에 도움을 준다. 천생 ... 다시 새로운 SPM의 기술을 탄생시킨다. SPM과 나노 디바이스의 상호상승작용은 나노과학
발전
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 ...
허준은 해부를 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목숨 걸고 시체 훔친 해부학의 아버지교통이나 통신수단이
발전
하지 못했던 과거에는 새로운 움직임이 전파되는 속도가 느렸으므로 르네상스기의 역동적인 변화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파되는데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러므로 시체해부가 허용됐다고 해도 16세기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일정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지 못했다는 점이었다.이런 경험이 바탕이 돼 좀더
발전
된 국내 천체물리학의 여건을 조성하는데 밑거름이 되길 바랄 따름이다. 무엇보다도 블랙홀에 대한 많은 젊은이들의 참여와 관심이 기대된다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5억4천3백만년 전-4억9천만년 전)가 시작하기 직전까지 약 30억년 동안은 생물의
발전
속도가 무척 느렸다. 그런데 캄브리아기에 이르러 생물의 종 수가 갑자기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캄브리아기를 ‘생물의 대폭발기’(great explosion)라고 부르는 것은 이 때문이다.하지만 캄브리아기와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사실을 알게 됐다. 그로부터 2백년이 지나 안경이 등장했다. 그리고 과학기술의
발전
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 최초의 현미경은 1590년에서야 만들어졌다. 즉 제1세대 현미경인 광학현미경이 출현한 것이다.제1세대 현미경은 과학자에게 식물과 동물의 세포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고, 실제로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발전
시설을 위해 건설한 터널의 내부는 윔프 탐색 실험을 위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발전
소 측은 특별한 배려로 윔프 탐색 실험을 수행할 수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그란사소 지하실험실 : 이탈리아 테라모(Teramo)에서 로마(Rome)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중간에 있는 그란사소 터널(길이 10.4km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체스 경기가 개최됐다. 결과는 2승 3무 1패. 딥블루의 승리였다. 물론 컴퓨터의
발전
이 인간의 마음을 닮은 인공지능의 완성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수학적인 논리력을 중요시하는 체스 경기로 인간과 컴퓨터의 지적 능력을 비교할 수는 없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인간보다 뛰어난 계산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수 있는 칩이 있어야 관련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었듯이, 컬러휴대폰에는 이보다 한단계
발전
된 다양한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칩이 장착된다. 이런 서비스는 각 이동통신사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략 올해 안에 상용화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와 함께 ... ...
미국 인간 배아줄기세포 지원 의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김효석 의원(민주당)은 “자문위의 시안은 윤리적인 면이 너무 강해 생명과학의
발전
과 생명윤리를 존중한다는 두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도록 과기부에서 충분히 검토하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상희 의원도 “중국이 치료목적의 인간배아복제를 허용하고 있는데 주목해야 한다”며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동안 그의 이론을 쓰기 바빴다. 상당한 악필로 산만하게 적은 이 메모가 대수함수론을
발전
시키는 시작점이 됐지만, 결투 준비를 하던가 도망가는게 그에게는 더 낫지 않았을까.독일의 로베르트 분젠(1811-1899)은 분광분석법의 개척자이며 2개의 알칼리금속(세슘과 루비듐)을 발견해 유명한 화학자다.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