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상
추리
짐작
어림
추측
추론
예보
뉴스
"
예측
"(으)로 총 5,33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미래직업①] 병원에도 빅데이터 전문가가 필요하다? “보건의료 빅데이터 전문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26
안정성, 평균소득, 인력수요, 사회적 위상과 같은 모든 영역에서 평균 이상으로
예측
됐다. - KISTEP 제공 ● 모래알에서 진주를 찾는 작업이 핵심! 보건의료 빅데이터 전문가의 핵심 직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관련 빅데이터 수집과 분류 - 보건의료 관련 온톨로지★ 개발 - 보건의료 관련 ... ...
국내 기술로 홍수 발생 30분 만에 초동대응 전략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6
25분, 시모드는 8분이 걸렸다. 김 연구위원은 “정밀도는 다소 떨어져도 적재적소에
예측
자료를 제공해 빠른 의사결정을 도와 피해를 저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10분 내 데이터를 제공하고, 30분 내 초동조치 의사결정이 가능하다”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유전자들의 유형을 추출해 이를 기반으로 몽타주를 그린다는 것이다. 이게 과연 얼마나
예측
력이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얼굴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부분이 유전성도 크다는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허황된 얘기는 아닌 것 같다. 혈연관계가 없음에도 얼굴이 꽤 닮은 경우는 아마도 얼굴의 핵심영역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 생태계 위협을 극복하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7.04.24
될 전망이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21세기말 전 세계 인구가 112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
했다. 인간 활동 중에서도 특히 농업이 세계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안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소비를 줄이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정책을 단순히 바꾸는 것뿐만 ... ...
진짜 화성생명체 있을까? ‘물’을 보면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3
가능성이 제기됐다. 수십 ㎞ 두께의 얼음층 아래 액체 상태로 이뤄진 바다가 존재하리란
예측
이다. 물기둥으로 추정되는 물질이 솟아오르는 현상을 관측한 게 그 증거다. 토성의 달(위성) ‘엔켈라두스’ 표면을 덮고 있는 얼음층 틈 사이로 물기둥이 솟아오르는 모습의 상상도. 지구에서는 이런 ... ...
인텔은 왜 IDF를 내려놓나
2017.04.22
업계 종사자들이 교류하는 IT 업계 주요 이벤트 중 하나였다. PC 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예측
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PC 시장이 최근 10분기 연속 하락했다는 가트너의 보고서가 더 이상 놀랍지 않다. 당장 새로운 PC가 뜨거운 관심을 받지 못한 지도 꽤 됐다. 인텔 역시 새 PC용 프로세서 발표에 대한 ... ...
미국, 해킹으로 북한 미사일 사전차단할 수 있다?…CNN '미군 사이버 교란과정 시나리오" 보도
포커스뉴스
l
2017.04.20
발사 실험을 방해하기 위해 사이버 전쟁을 시작한 것"이라고 전하기도 했다. CNN이
예측
한 '미사일 교란과정 시나리오'는 △북에서 탄도미사일이 발사될 시 △한국에 위치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가 이를 감지하고 △사드가 감지하지 못할 시 이지스함이 해상에서 감지하며 △이지스함이 ... ...
SK텔레콤, LTE보다 9배 빠른 ‘5밴드CA’ 갤럭시S8에 적용
포커스뉴스
l
2017.04.20
등 통신 품질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하고 △트래픽 급증 등 품질 변화 요인을 사전에
예측
해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다. SK텔레콤은 AI 네트워크를 지난해 12월 상용망에 적용했으며, 실시간 체감 품질 지수 등의 빅데이터를 추가 연계한 고도화를 앞두고 있다. SK텔레콤은 갈수록 변칙적으로 변화하는 ... ...
징그러울 정도로 거대한 환형동물...신기한 생태의 거대배좀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누구도 연구하지 않았다. 다만 일반적으로 작은 배좀벌레와는 근본적으로 다를 것이라고
예측
해왔다. 껍데기가 작아서 나무 사이에 굴을 파며 살아가는 배좀벌레와 달리 거대배좀벌레는 몸 전체를 보호하는 단단한 껍데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사는 곳도 일반 배좀벌레와 달랐다. 배좀벌레는 물에 ... ...
[카드뉴스]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1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주기도 합니다. Q14. 안전띠는 사라질 수 있을까요? 자율주행으로 자동차가 모든 상황을
예측
해서 움직이는 미래엔 사고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사실상 안전띠의 필요성이 줄어들 전망입니다. 교통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0에 가까워진다면 불편하고 답답한 안전띠에서 해방될 수 있겠죠. - 참고: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