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에 DNA 전달하는 '금나노선 세포 주사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각각의 세포들은 주변 세포와 신호를 교환함으로써 단백질을 만들고, 삼투압을
조절
하는 등 몸 안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 세포내의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면 암이나 기타 질병을 유발하는 비정상세포가 된다. 이 때문에 비정상적인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도록 세포에 원하는 ... ...
[채널A] 맞춤형 암 치료법 개발…MRI 조영제, 암세포 죽인다
채널A
l
2013.05.14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환자에 따라 항암제 사용량을
조절
할 수 있어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광렬 /고려대 화학과 교수] 암에만 선택적으로 약물이 전달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치료법보다 훨씬 적은 양의 약물을 쓰고도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 ...
私學 라이벌 암세포 죽이는 ‘택배상자’ 함께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성게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바꿀 수 있어, 빈 상자 모양과 크기에 따라 약물 방출 속도도
조절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실제로 이 조영제에 항암제 ‘독소루비신’을 담은 뒤, 암에 걸린 생쥐에게 주사했더니 암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 ...
[채널A] 준비없이 달렸다간…마라톤의 복병 ‘유방통’
채널A
l
2013.05.10
[앵커멘트] (남) 건강을 위한 달리기에 계절이 따로 있겠습니까만, 1년 중 요즘처럼 달리기에 좋은 날씨가 있을까요? (여) 하지만 준비 ... 악화시키기도 합니다. 전문가들은 운동 강도를 자신이 뛸 수 있는 한계의 60% 정도로
조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 ...
2020년 우리도 6000m 깊은 바다 탐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깊은 바다까지 빠르게 오르내려야 하기 때문에 정밀한 압력
조절
기술이 관건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시스템연구부 이판묵 책임연구원은 “심해 유인잠수정은 세계적으로 모습이 비슷하다”며 “한국형 유인잠수정도 여기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 ...
그래핀으로 열전발전기 개발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8
그래핀의 폭을
조절
하면 열전도율이 변한다는 사실을 국내 과학자가 이끈 국제연구진이 밝혀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측정센터 배명호박사가 주도하고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연구진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그래핀의 폭을 줄이면 열전도율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 ...
축구경기장 4배 크기 세계최대 컨테이너선… 현대중공업 5척 수주
동아일보
l
2013.05.07
자체 제작한 전자 제어식 엔진을 탑재해 운항 속도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연료를
조절
해 연료 소모량과 탄소 배출량을 줄일 계획이다. 또 연료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선형을 채택하고 자체 개발한 선박평형수(선박 운항 때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배에 채워 넣는 바닷물) 처리장치인 ... ...
[The Test]폴크스바겐 ‘폴로 1.6 TDI R라인’
동아일보
l
2013.05.07
무척 간결했다. 가죽 시트 대신 직물 소재의 시트를 선택했다. 운전석도 수동으로
조절
해야 한다. 한국어 내비게이션은 옵션으로 설치할 수 있다. “부가 기능은 최대한 줄여 가격을 확 낮추고 소형차 본연의 성능에 집중했다”는 폭스바겐코리아 박동훈 사장의 설명을 듣자 고개가 끄덕거려졌다. ... ...
잠들지 않는 도시 '잠들게' 만드는 조명등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각도를 줄인 것이다. 연구진은 가로등을 도로 한쪽 끝에 세울 경우, 렌즈의 각도를
조절
해 빛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나오게 만들어 빛이 새지 않게 했다. - 대만국립중앙대 제공 연구진이 개발한 LED 가로등은 빛이 거의 새어나오지 않아 에너지 낭비가 2%에 불과했으며, 효율도 높아 전력량을 40~60% ... ...
태양전지 효율 세계적 수준까지 올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6
위해서는 태양광을 흡수해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활성층과 나노 입자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
해야 한다. 너무 가까우면 엑시톤이 소실되고 너무 멀어지면 에너지 전환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자체 개발한 실리카로 은나노 입자를 코팅했다. 그런 뒤 활성층에 얇게 바르고 금속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