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5,35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12
'8도 접류목록'을 완성할 예정입니다."지난 1월 28일부터 3월 말일까지 이 모임은 또 국립
서울
과학관에서 '세계의 진귀곤충 전시회'를 개최해 화제를 모았다. 이때 출품된 나비는 회원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미국 남미 등 세계 각국에서 채집·수집한 것들로 모두 7천여 마리를 선보였다. 이 ... ...
성인병 예방의 지름길
과학동아
l
199212
성인병을 막기 위해 운동을 하지만 아무 운동이나 건강에 도움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건강상태나 체력조건에 알맞는 운동을 선택해야 성인병의 위협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최선의 기능을 유 ... ...
청소년상담 통신망 등대BBS 운영하는 현직교사 서영창
과학동아
l
199212
비해 영세하지만 소규모로 운영되기 때문에 오히려 가족적인 친근함이 있다.서교사도 집(
서울
도봉구 방학동)에 PC 두 대와 모뎀, 그리고 전화 두 대를 놓고 등대BBS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는 996-2304 한 대만 가동되는데 접속시간은 밤 9시부터 새벽 6시까지. 누구든지 '이야기' 같은 백신프로그램으로 ... ...
황천과 지상을 잇는 죽음의 강
과학동아
l
199212
분위기를 연출하는 별자리다. 이 별자리는 죽음의 강답게 밝은 별이 거의 없는,
서울
하늘에서는 거의 알아보기 힘든 공허한 별자리다.에리다누스자리는 오리온자리의 베타 별리겔에서 서쪽으로 25°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4등성 엡실론(ε)별로 인해 매우 관심이 가지는 별자리. 이 별은 고래자리의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12
좋지 않았다. 환자들이 이식 거부반응을 일으켜 사망하게 된 것이다.최근
서울
대병원과
서울
중앙병원 등 대학병원에서는 장기이식센터를 설립, 장기수여자와 공여자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부분적인 뇌사인정 추세에 영향을 받아 본격적인 장기이식시대를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11
혹은 Sheratan)은 이 별이 한 때 춘분점에 가까이 있었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
서울
하늘에서는 보통 이 두 개의 별만을 알아 볼 수 있다.삼각형자리에는 특별한 신화나 전설은 없다. 그리스 시대에는 그리스 문자의 네 번째에 해당하는 '델타(△)자리'로 불려졌고 이집트에서는 '나일강의 델타' ... ...
1. 세계각국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211
것과 별 차이가 없다. 또한 PC통신을 통한 바둑통신 대국도 가능하다. 지난 3월초에는
서울
에 있는 유창혁 5단과 전주 중앙동에 있는 이창호 5단이 한국PC 통신의 온라인망을 이용해 프로기전을 통신대국으로 치러 세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이처럼 삶의 편리함을 더해주는 비디오텍스 서비스는 최근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11
이 성운 속에는 중성자별이 자리잡고 있다.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갖는 중성자별은 대략
서울
시만한 크기를 갖게 된다. 중성자별은 이처럼 엄청난 수축 끝에 탄생하기 때문에 매우 빠르게 자전하고 있다. 이는 피겨 스케이터가 팔다리를 안으로 웅크릴수록 더 빨리 돈다는 점에 유의하면 이해할 수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11
약대의 경우 40여명의 교수 중 여성 교수는 단 한분(김영중 교수)뿐이고 제가 재직중인
서울
대 천연물과학연구소도 10명의 교수중 저만이 여성입니다"라고 윤혜숙교수는 들려주었다.여성 약학자들이 목표로 삼을 수 있는 곳은 제약회사연구소 국립보건원 화학연구소 등이다.한편 가정계는 81년부터 8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11
점입니다."최근 차세대 반도체용 기억소자인 '멀티비트 DRAM셀'을 국내최초로 개발한
서울
대 김원찬교수(전자공학과)의 말이다.김교수는 또 "현재의 이론과 기술로는 기가(giga, ${10}^{9}$)D램 이상의 소재개발이 어렵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면 그 한계를 뛰어넘을 가능성도 있다" 고 주장한다.반도체의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