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8,54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12
장난감이 아니라 친구나 가족 같은 개념의 로봇이 현실화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
진
로보틱스는 아이로비를 메신저나 휴대전화와도 연동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12
르네상스 시대의 가장 뛰어난 조각가 미켈란젤로. 그러나 그의 여성 조각상은 대가의 작품이라기에는 석연치 않다. 몸도 근육질인데다 유방의 위치도 어색하다. 그만큼 세밀한 관찰을 ...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
화의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12
인류는 4가지 혈액형을 골고루 유지한다는 것이다.앞으로 혈액형의
진
짜 역할이 밝혀
진
다면 혈액형은 성격이 아니라 자신이 잘 걸릴 질병에 대비하는데 쓰일지 모른다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12
것은 맞는 얘기다. CERN은 1995년 반물질을 제조하는데 최초로 성공했다. 이때 만들어
진
반물질은 반수소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조한 반수소는 고작 수천개 정도. 폭탄과는 거리가 먼 무척 적은 양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반물질 폭탄을 만드는데 필요한 반물질을 저장하는 기술은 등장하지도 않았다 ... ...
최고권위의 발명 사이트 - http://web.mit.edu/invent
과학동아
l
200412
인물이다.레멜슨-MIT 프로그램은 발명을 통해 인류의 삶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준 숨겨
진
인물을 찾아서 이에 보답해 젊은이들의 발명과 혁신을 고취시키고, 발명가의 위상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미래의 발명가에게 풍부한 교육 자료 제공과 우수한 장학 프로그램도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12
있어서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천체망원경으로는 제타성 바로 옆에 나뭇잎처럼 펼쳐
진
NGC 2024 성운이 뚜렷이 보인다. 이 성운을 자세히 보려면 별빛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제타성을 시야 밖에 두고 관측하는 것이 좋다. 이 성운의 모습은 마치 나뭇잎처럼 생겨서 크리스마스트리성운이라는 별칭이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
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12
최근성(最近星)의 하나 실시연성(實視連星)이며 84AU 떨어
진
태양의 반 정도의 질량을 가
진
적색왜성으로 약 750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백조자리 61번성은 1792년 당시부터 주목되었다 1976년 소련의 드브나 원자핵연구소의 유(Yu), 오가네시안 등이 발견해 보고한 초우라늄 원소 밴도르프의 식 1872~1970 ... ...
코와 골짜기가 만든 동해 가스전
과학동아
l
200412
함께 위성을 이용해 유전을 찾았다고 주장했다.그러나 이 소식은 아직 신뢰성이 떨어
진
다. 류상수 팀장은 “석유는 해저지각 깊숙이 묻혀 있어 위성만으로 찾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서해도 퇴적 분지로 이뤄져 있어 석유가 존재할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중국도 서해에서 유전을 개발한 바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
진
다면?
과학동아
l
200412
헬리콥터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 것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사
진
작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그의 사
진
집을 보면 우리가 사는 지구가 이렇게 ... 된다고 생각하는 요즘 도시 아이들에게 밤하늘에 대한 감수성을 되돌려 주는 것은 어른들에게 남겨
진
몫이 아닐까 ... ...
맹인견 대신할 전자눈 개발
과학동아
l
200412
토다요시 시오야마 박사와 모하마드 우딘 박사는 소형 카메라 한 대로 이뤄
진
전자눈을 개발했다. 전자눈을 안경이나 입는 컴퓨터 위에 고정시키고, 전자눈의 카메라가 포착한 영상을 분석하도록 한 것.전자눈의 카메라는 횡단보도의 흰 선을 인식해 보행자들이 길을 건너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