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워프~! 마사이족의 손가락셈 탐험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결론이 안 날 테니, 일단 콜라병들이 떨어진 장소로 가 보자.”콜라병들이 떨어진 곳에 가 보니, 1개의 콜라병만이 나뭇가지에 걸려 있었어요. 우린 서로 먼저 콜라를 마시려고 병에 손을 뻗었는데, 갑자기 아득한 느낌과 함께 어디론가 빨려 들어가고 말았어요! 첫째, 이상야릇 윱노 부족을 ... ...
- ‘비 사이로 막가’에 알맞은 공식이 있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차이가 크지 않다. 이럴 땐 무조건 비를 막을 수 있는 물건을 찾거나 비를 피할 수 있는 곳으로 뛰어가야 한다.사람의 체형에 따라서도 결과가 다르게 나왔다. 만약 비가 주로 사람의 측면으로 내린다면, 같은 속도로 걸을 때 날씬한 사람보다 통통한 사람이 비를 더 맞았다. 보치 교수는 “이럴 때 ... ...
- 지능형 자동차 IT 연구센터 똑똑한 자동차가 온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학 공식을 세워야 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성능을 제어하는 곳에는 행렬, 속도를 빠르게 하는 기술에는 미분방정식이 사용된다. 특히 많은 부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움직이게 하려면 ‘최적화 이론’이라는 수학의 한 분야를 알아야 한다.서승우 교수 : 중고등학교 ... ...
- 뇌에 상처를 주는 욕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가장 중요한 ‘이성의 중추’예요. 전두엽은 뇌의 여러 부위 중 가장 늦게 발달하는 곳으로, 만 6세에 발달하기 시작해 청소년기 내내 성장한답니다. 청소년기에 전두엽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면 이성이 본능을 통제하지 못해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기 쉬워요자가진단테스트나는 얼마나 욕쟁이 ... ...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이론을 쏙쏙 찾아내다니, 정말 수학자들은 저처럼 못하는 게 없네요. 그나저나 덥고 습한 곳에서 며칠을 지냈더니 온몸이 끈적끈적해요. 당장 저 파도 거품이라도 문질러 샤워하고 싶어요!이제 조금만 참으면 이 섬을 탈출할 수 있어요. 샤워는 그때 가서 생각합시다. 거품 이야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찾다며칠이 흘렀다. 이제 본 게임을 시작해볼까. 어디가 좋을까. 저기 약간 비스듬한 곳을 목표로 잡아보자. 화학카메라(ChemCam)가 활약해 줄 때다. 몸이 순간 뜨거워진다. 지~이잉 소리와 함께 100만W 에너지를 담은 적외선 레이저가 뿜어져 나왔다. 레이저의 사정거리는 최대 7m. 암석 표면이 탔다. ...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시각, 청각 덕분이라고. 따라서 주인이 특별한 지시를 하지 않아도 평소에 자주 가던 곳으로 발길을 옮기곤 한다. 사실 말은 기억력이 상당히 뛰어난 동물이다.예를 들어 제각각 독특한 패턴이 그려진 카드 20쌍을 보여주고 올바른 카드를 고르면 먹이를 주는 훈련을 시켜보자. 3개월, 6개월, 12개월이 ... ...
- 후쿠시마 원전 핵연료봉 첫 회수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유출 사고를 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핵연료봉을 처음으로 회수했다.작업이 진행된 곳은 원자로 4호기다. 수소폭발로 건물이 심하게 파괴된 상태라 공기 중에 불가피하게 노출된 상태로 회수 작업을 진행했다.회수된 연료봉은 전용 용기에 담아 다른 건물의 공용 저장조로 옮겼다. 도쿄 전력은 ... ...
-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큰 걸 보니 말매미네요.” 탈피각을 이리저리 살펴보던 장이권 교수가 말했다. 이 곳에 말매미가 살고 있다는 증거다.말매미가 울기 시작했다!“츠으츠으으으으-츠으츠으으으으-”단지 안으로 들어가자 매미소리가 시끄럽게 주변을 메웠다. 말매미다. 우리나라 매미 중에서 가장 크고, 노래도 가장 ... ...
- 슈퍼컴퓨터로 치매 조기진단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해결책을 슈퍼컴퓨터에서 찾고 있다.처음 일어나는 곳이 주로 단기 기억을 담당하는 곳이기 때문에 건망증이 제일 먼저 온다. 전두엽 부위가 위축되면 판단력이 떨어지거나 감정 절제가 어려워지고, 언어 부위가 위축되면 말이 어눌해진다. 하지만 1990년대까지는 아주 중증의 치매환자가 아닌 이상 ... ...
이전4334344354364374384394404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