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d라이브러리
"
시간
"(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힘들다. 이런 습성을 안다면 뼈에 회색 큰다람쥐의 흔적이 남아있는 시체의 사후경과
시간
을 판단할 때 도움이 된다.앞니를 마모시키기 위한 목적 외에 영양분을 섭취하기 위해 뼈에 접근하는 설치동물도 있다. 집쥐가 대표적이다. 집쥐는 완전히 마르지 않은 뼈를 갉아먹으며 미네랄이나 지방을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그가 제게 공룡 이야기를 꺼내더군요.”그렇게 연구를 시작한 지 불과 6개월 정도의 짧은
시간
만에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불과 몇 달 뒤에는 ‘놀라운 우연의 일치로’ 그의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을 할 인공위성 ‘가이아(GAIA)’를 유럽우주국(ESA)에서 쏘아 올렸다. 그는 “수 년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한쪽 터널의 길이는 길어지고 다른 한쪽 터널의 길이는 짧아져서 빛이 되돌아온
시간
에 차이가 생기지요. 이때 두 빛이 간섭을 일으켜 빛 검출기가 신호를 감지한답니다.라이고는 수소 원자핵의 1만분의 1 크기 변화까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정확도가 뛰어나요. 그 이유 중 하나는 터널 끝에 있는 거울 ... ...
[수학뉴스] 방정식을 풀었더니 웬 테러리스트?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여름방학이 다가오네요. 여러분은 이번 방학에 어떤 계획이 있나요? 혹시 여행을 떠난다면 비행기를 탈 때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은 삼가세 ... 풀던 미분방정식을 테러리스트의 아랍어 암호로 오해해 소동을 일으킨 승객은 2
시간
뒤, 비행기가 다시 이륙할때는 결국 탑승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 ...
[지식] 매운맛 커리를 만드는 황금비 0.4초, 50도, 5:4:9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동작을 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은 단 0.33초다. 슛 동작을 취하고 공을 던질 때 까지 걸리는
시간
은 0.4초로 미국 프로농구 선수들의 평균이 0.54초인 것과 비교하면 무려 0.1초가 차이가 난다. 수비수 입장에서는 순식간에 벌어지는 일이다. 심지어 슛 성공률도 높다. 득점 성공을 부르는 각도, 5 ... ...
[과학뉴스] 떠내려가는 난센빙붕 포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빙산은 약 한 달간 총 457km(하루 평균 2.1km)를 이동했다(A 기준). 빙붕이 쪼개진 시각은 한국
시간
으로 4월 7일 오후 1시부터 4월 8일 오전 8시 사이다. 전문가들은 2013년 말~2014년 초 이상고온의 영향으로 빙붕의 균열이 커진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빙붕의 이동은 육상에 남아있는 빙하에도 영향을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감마선 폭발체까지 떨어진 거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나면, 이제 전자기파가 활약할
시간
이다. 감마선 폭발체가 속한 은하를 알아낸 다음 빨강치우침(적색편이)을 측정해 지구로부터 멀어지는 속도를 확인한다. 은하에서 오는 빛이 빨간색으로 치우칠수록 빨리 멀어지고 있다는걸 뜻한다. 이런 과정을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실제로 동물원에 가만히 있는 도마뱀, 악어, 거북을 보면 그렇게 보인다. 먹이를 주는
시간
이 아니면 거의 미동 없이 누워있으니까.하지만 우리가 파충류를 아둔하다고 여기는 다른 이유도 있다. 그 동안 파충류의 지능과 뇌에 대해 연구한 사례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1950년대부터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온 신경을 곤두세워 뼛조각을 하나하나 줍고 주변의 흙을 몇 번씩 체로 걸러내다 보면 몇
시간
이 금방 지나가버린다. 뼛조각을 모은다고 끝이 아니다. 혹시나 분실된 조각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 세척이 끝나고 나면 필자는 항상 부러진 뼈를 다시 맞춰보곤 했다. 자연스레 ‘뼈가 왜 이런 형태로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소금 중독은 락스 중독보다는 들통날 확률이 적습니다. 소금 중독으로 사망한 경우 일정
시간
이 지나면 사후변성에 의해 혈액의 전해질 수치가 변하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눈 유리체액(vitreous humor)이 생전의 전해질 수치를 비교적 오래 보존하죠.하지만 소금도 본인이 모르게 먹이기는 쉽지 않았을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