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일정 수준의 점수를 얻으면 무기 아이템을 지급해 플레이어의 학습동기를 유발시킨다.
지난
1월‘다음 키즈짱’이 오픈한 영어 학습용 기능성 게임인‘다이노키즈’는 영어 공부용으로 인기몰이 중이다. 플레이어는 자신만의 공룡 캐릭터를 선택해 가상공간을 돌아다니며 영어로 대화하거나 게임,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가르치고 칠판 색깔이 분홍색이라면 학생들이 집중을 더 잘 할 수 있지 않을까.
지난
몇 년 전까지 과학자들은 이런 질문을 제기할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 건축 분야에서이런 식의 질문은 매우 중요한 이슈지만, 그 해답은 뇌를 연구하는 신경과학자들이 찾아야 하기 때문이었다. 인간의 사고과정에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산성도와의 관련성은 이미 오래전에 밝혀졌지만 정작 그 일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정자가 강한 산성을 띠는 이유는 내부에 산성을 띠게 하는 수소이온(H+)이 많기 때문이다. 정자 내부는 수소이온 농도가 정자 바깥인 여성의 생식기보다 1000배나 진하다.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경영에 관한 일련의 작업들을 전문적으로 해주는 회사들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13년간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열심히 연구한 김 교수는 올가을부터는 연세대 나노바이오 NCRC 협동과정으로 자리를 옮길 계획이다. 김 교수는 “정든 동료 교수들과 학생들을 떠나서 아쉽지만 그동안 ... ...
살찌지 않는 건강식 문어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현산어보(자산어보)’에서 정약전이 문어의 형태를 묘사한 부분이다. 우리는 200년이
지난
지금도 정약전이 했던 실수를 되풀이하곤 한다. 우리가 흔히 문어대가리라고 부르는 부분은 사실 머리가 아니라 몸통이다. 따라서 창자가 머리 속에 있다는 것은 창자가 몸통 속에 있다는 말로 바뀌어야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전문가들이 깊은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 그 뒤로 400여 년이
지난
지금 학문의 융합은 전 세계의 새로운 조류로 떠오르고 있다.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와 프라운호퍼연구소, 프랑스의 파스퇴르 연구소, 미국의 MIT 미디어랩, 일본의 이화학연구소에는 끊임없이 벽을 ... ...
“주어진 환경 고려해 우수한 학생 선발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대책은? 일선 학교를 방문해 서울대가 원하는 학생상을 전달하고 공유하려 애쓰고 있다.
지난
1월에는 경북 영주지역에 서울대 교수 20명이 가서 일주일간 특강을 하고 왔다. 지자체 지원 아래 11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 컨설팅을 실시했다. 이러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칠 계획이다.KAIST의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높아지면서 습기가 많고 따뜻한 공기가 우리나라까지 영향을 줄 수 있어요. 실제로
지난
11월 서해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지요. 그래서 웜풀엘니뇨 때문에 생긴 습하고 더운 공기가 우리나라로 오면서, 북극 진동으로 중위도까지 내려온 찬 공기와 만나 눈구름을 만들었다는 ... ...
수학이라면 지진도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지진의 피해는 상상을 초월했지. 많은 사람들이 다치고 목숨을 잃었거든. 두 달이
지난
지금도 전 세계 사람들이 도움의 손길을 계속해서 보내고 있어. 아이티 지진이 일어나고 얼마 지나지 않은 2월 9일 경기도 시흥 부근에서 규모 3.0의 지진이 발생해 사람들을 놀라게 했어. 16일에도 울산 앞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신호를 추적해 위치를 확인하고 곰과 산양이 어디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지난
달 29일에는 야생으로 돌아간 산양이 새끼를 낳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꼬치동자개 역시 자연으로 돌아간 3000마리 중 대다수가 번식에 성공했다. 모두 야생에 잘 적응해 개체수를 늘린 예. 이렇게 조금씩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