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
과학동아
l
199907
예로부터 똥개에도 등급이 있었다. 최상은 황구(누렁이)요,
다음
은 흑구(검둥이), 그
다음
이 화구(바둑이, 얼룩이), 마지막이 백구(흰둥이) 순이었다. 황구는 보신용으로, 흑구는 약용으로 많이 썼다. 그런데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바둑이와 백구는 식용으로나 약용으로 쓸데가 없어 찾는 이가 없었다고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07
1의 배열을 ${2}^{n}$차수의 방진의 각 칸에 맨 왼쪽위에서 부터 차례로 채워나간다. 그런
다음
0과 1이 있는 곳을 구별해서 맨 왼쪽 윗칸에서 시작해 1부터 숫자를 채워나간다. 1에 해당하는 곳에는 순서대로 수를 쓰고 0이 있는 곳은 건너뛴다. 끝까지 다 갔으면 이번에는 끝에서 부터 다시 0이 있는 ... ...
살균과 소독
과학동아
l
199907
식중독이 일어난다. 그러나 오염된 균은 열처리로 사멸되기 때문에 충분하게 익힌
다음
에 먹는 것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화학소독 출발시킨 페놀가열이나 여과 같은 물리적 소독 외에 약품을 이용한 화학적 소독이 본격화 된 배경에는 독일의 의사인 로버트 코흐의 역할이 크다. 그는 건강한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06
학자들은 좀더 자세한 시나리오는 이들 행성들의 조성과 성질들이 더 자세히 알려진
다음
에야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⑤ 외계 생명체는 어디에 - 물과 유기분자 있는 곳 유력 후보지구상의 모든 생물체의 구성은 물과 유기분자가 기본이 된다. 유기분자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를 제외한 ... ...
아우슈비츠와 731부대
과학동아
l
199906
것이 X선 불임장치. 그는 포로 중에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젊은이들을 선발한
다음
그들을 발가벗기고 5-8분 동안 X선을 쐬었다. 그리고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작은 기구를 항문으로 집어넣고 남자의 전립선을 건드려 억지로 사정하게 만들고, 여자의 나팔관 끝에서 난소를 잘라냈다. 물론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06
맞춰 뼈대를 세우는 이탈리아의 르네상스화가들과는 달리 한 사물을 끈기 있게 그린
다음
다른 사물을 그려나갔다. 57 x 83cm 크기의 조그마한 그림 속에 약혼식을 거행하는 이 두사람과 그들을 그리고 있는 화가를 담고 있는 거울이나 터럭 하나하나까지 묘사된 강아지를 보면 반 아이크의 묘사력이 ... ...
내가 만든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199906
원의 꼭대기에서의 속력을v라고 한다면 원의 꼭대기에서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은
다음
과 같다.mgh = $\frac{1}{2}$mv²+mg(2r)원의 꼭대기에서 중력과 수직항력의 합인 구심력은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과 평형을 이룬다. 이때 트랙과 마찰이 없다고 하면, mg = m(v²/r)이다.두 식에서 높이(h)를 ... ...
한국야쿠르트 이은선 사장
과학동아
l
199906
병에 걸린다. '왜?'라는 병이다. 이 병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히 치료된다. 어른들이 "이
다음
에 크면 다 배워"라며 아이들의 말문을 막아 버리면서 잘 고쳐주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안타까워하며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이 다시 '왜?'라고 묻는 병에 걸리도록 묵묵히 21년째 노력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 ...
1기 수료생 배출한 과학영재교육센터
과학동아
l
199906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 대한 교육이 부족한 현 시점에서 이번 기회가
다음
단계의 프로그램 개발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대학내 교수들이 개인적인 연구 일정이 바빠 학생들을 지도하고 격려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내지 못한 것은 사실이라며 아쉬움을 표현했다.이제 9개 ...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199906
이웃 천체가 간섭20세기 들어 태양계에 대한 정보가 쌓이면서 태양이 먼저 생기고 난
다음
주위의 행성들이 생겼다는 비동시 생성론이 대두됐다. 1900년대 초반 챔벌린과 모울턴은 두 개의 천체가 조석력에 의해 물질이 섞이면서 행성계가 생겨났다는 조석설을 제기했다. 태양 가까이 다른 별이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