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인공신경망은 이처럼 판단의 기준이 되는 정보들을 변수 x₁, x₂, x₃과 같은 계산 가능한 형태로 바꾼 뒤,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매긴다. 그 다음 더하거나 빼는 연산 과정을 거쳐서 결과 값을 도출해 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넷플릭스에서는 각 회원들이 영화를 빌린 기록과 자신이 본 영화에 ... ...
- 수학을 사랑한 기기묘묘 음악가 열전!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항상 동시에 재생되도록 만들기 위해서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했어요. 하지만 이걸 가능하게 한 건 초기에 제가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계산한 덕분이라니까요? 수학적 아이디어로 1000년의 연주곡을 작곡한 제가 이번 열전에 가장 어울리는 후보 아니겠어요? 후보 2 올리비에 메시앙, 소수로 ...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만화영화나 게임을 보면 2차원 그림이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움직인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까?사실 그림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건 그 역사가 깊다. 기원전 1만 8500년에서 1만 4000년 사이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알타미라 동굴벽화에는 다리가 8개인 멧돼지가 있다. 구석기인들이 달리고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요구를 듣고 그때그때 새롭게 창조해야 합니다. 한번 설계해 대량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하지요.”바다가 있는 한 꼭 필요한 분야“세계의 70%는 바다입니다.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공대 내에는 여러 인기 학과가 있지만 조선해양공학은 애국가처럼 ‘동해물이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산업구조로 봤을 때 기초과학이 단지 기초만으로 끝나기보다는 산업적으로 응용 가능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원들에게 항상 기초를 하되 응용에 목표를 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좌절 절대 금지!이 교수는 연구원들이 연구에 집중하도록 계속 독려하면서도 항상 ‘좌절금지’를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에 들어갈 서브시스템과 모듈을 개발했다. 특히 야간이나 구름 낀 날에도 지구관측이 가능한 전천후 위성 ‘아리랑 5호’에는 태양센서를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 박 대표는 “회사 역량의 70%는 해외 위성 제작에 투입해 왔다”며 “2012년 말 기준 누적금액으로 외국 수출액이 1300억 원이 넘고, 201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에디슨의 GE가 우리의 삶을 크게 바꿔 놓았던 것처럼 조 대표 역시 사회를 바꾸고 지속가능한 형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첫째는 꿈, 둘째는 열정“저는 좋은 직장에 가지 못했기 때문에 창업하는 건 굉장히 위험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청소년에게 조언을 하자면, 직업은 자신이 꾸는 꿈을 열정을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친구들이 눈앞에서 잡혀가는 상황 속에서, 현실적으로 수업을 집중해서 듣는다는 건 불가능해 보였다. 대학교 2학년 때 전공을 ‘수학과’로 결정한 뒤 본격적인 공부는 대학원에 진학하고 나서야 시작할 수 있었다. 공부에 집중할 수 없었던 학부 시절을 보낸 제자들이 안타까운 지도 교수님은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분야, 다양한 요소가 포함돼 있다. 자신의 취향이나 관심도, 적성에 맞춰서 여러 진로가 가능하다. 거주성에 대한 욕구가 낮다고 건축을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자신이 어느 쪽에 속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분야가 뭔지, 공간에 대한 호오는 분명한지 판단하는 게 좋다 ... ...
- 통계로 미래를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일어나면 어떻게 될 것인지 다양한 시나리오를 작성해 예측하는 거예요. 보통 3∼4개의 가능한 미래를 가정하고, 각각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죠. 그리고 그 시나리오별로 대비 방안을 세우는 거예요.미래의 일을 먼저 알 수는 없어요. 하지만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은 연습을 통해 키울 수가 있어요. ... ...
이전4344354364374384394404414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