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켜면 친구들은
가장
먼저 무엇을 하나요? 아마 인터넷에 접속해 친구들과 메신저로 대화하고, 메일을 보내고, 어과동 홈페이지에 포스팅과 기사를 올리겠죠? 이처럼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인터넷은 누가 발명했을까요? 바로 팀 버너스리라는 컴퓨터 공학자랍니다.버너스리는 1955년 6월 8일,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그렇다면 용각류는 돌을 우연히 먹었을까요? 아니면 일부러 삼킨 걸까요?용각류들이 위 속에 지녔던 ‘위석’용각류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901년 제정된 노벨상은
가장
명예로운 상의 대명사다. 최고의 수학자에게 주어지는 ‘필즈상’은 ‘수학의 노벨상’으로 비유된다. 획기적인 연구 성과에는 ‘노벨상 0순위’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매년 이맘때가 되면 한국은 ‘노벨상 열병’을 앓는다. 올해는 그나마 덜한 편이다. 일본에서 ... ...
[과학뉴스] ‘뇌 하수구’로 치매 해결책 찾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하수구’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바로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 중
가장
바깥쪽인 경막에 있는 림프관이다. 뇌에서 생겨난 쓸모없는 단백질은 이 림프관을 통해 배출된다. 연구를 이끈 대니얼 라이히 박사는 “림프관을 통해 뇌에서 노폐물을 버리는 현상을 최초로 발견했다”면서 ... ...
[과학뉴스] 전세계 꿀 75%에서 살충제 성분 검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있는 지 조사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니코틴계의 신경자극성 살충제로 다섯 종류가
가장
널리 쓰인다. 분석 결과 75%에서 최소 한 종류 이상의 네오니코티노이드를 발견했다. 두 종류 이상이 발견된 꿀이 45%나 됐고, 10%에서는 4종류 이상이 발견됐다. 네오니코티노이드의 농도는 유럽과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큰 천체인 왜행성 ‘세레스(Ceres)’에 한글 지명이 붙은 것으로 확인됐다. 왜행성의 지명이 한글로 명명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제천문연맹(IAU)은 8월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세레스에서 발견된 크레이터 13개의 지명을 공식 승인했다”고 밝혔다. 13개에는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가장
앞서나가는 기업이었다. IBM이 개발한 ‘블루진(BlueGene)’은 수년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로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최근 중국이 슈퍼컴퓨터 연구에 뛰어들며 순위에서 밀려나 현재 5위를 기록하고 있다(2017년 6월 기준). 매출을 60% 이상 차지하던 전통적인 하드웨어 분야에서 고전을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확산하려는 성질을 띠기 때문이다. 한 예로 핵융합 연구 분야에서는 플라스마 감금이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다. 핵융합, 즉 원자핵 두 개를 충돌시켜 새로운 원자핵을 만드는 반응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섭씨 1억 도가 넘는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장시간 운전해야 한다. 이를 위해 토카막 장치와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같은 면역학 연구를 바탕으로 면역항암제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장
위험한 피부암 중 하나인 흑색종을 중심으로 신약 개발이 활발하다. 흑색종은 발병 초기에는 외과 치료로 완치할 수 있지만, 전이되기 시작하면 5년 뒤 생존할 확률이 10% 미만으로 급격히 나빠진다. 그런데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발상들을 그러모아서 복제자의 선택이라는 개념적 우산 아래에서 탄탄하게 통합시켰다.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발상은 물론 해밀턴이 1964년 발표한 ‘포괄 적합도 이론’이었다. 복제자는 다음 세대에 복제본을 더 많이 남길 수만 있다면 자신이 당장 들어 있는 운반자(개체)에게도 서슴없이 손실을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