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나라
에는 왜 소나무가 흔한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초청으로 한국임야를 시찰한 뒤 귀국하여 강연을 하던중 "소나무가 산에 많아지면
나라
가 망한다"고 한데서 비롯됐다.그러나 소나무는 반드시 배척될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소나무의 변종인 금강송은 페인트의 도움없이 수백년을 유지하는 '춘양목'을 산출하는 수종이다. 수종개량을 해서 좋은 ... ...
간질환에서 해방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그 이외의 방법으로 치유할 수도 있는 것이다.간질환의 효과적인 예방책결론적으로 우리
나라
에서 간질환이 많은이유는 B형간염바이러스의 장기 보유자가 많기 때문이며 다음 세대에 동일한 유산을 물려주기 않기 위해서는 예방만이 최선책이다.예방은 특히 신생아를 중심으로 소아에 집중적으로 ... ...
어떻게 대응하나? 마이크로 전자기술의 파고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산업기술로서 인적자원의 기여도가 클뿐 아니라 개발의 역사도 비교적 짧아 우리
나라
도 이에 신속히 대응한다면 선진수준에의 진입이 결코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의 개발은 그 기술의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한 올바른 개발방향의 설정, 그리고 이를 ... ...
우주개발 30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이에 비해 한국의 실정은 너무나도 한탄스럽다. 지구에 더 이상 살수가 없어서 남의
나라
들이 우주대이민을 위해 떠날려 할때 우리들은 그네들에게 "우리도 태워주십시오"하고 애걸하여야 하는 장면을 상상해 보자. 이 문제는 컴퓨터나 반도체 만드는식의 기술도입이 안되는 부분이다. 물론 ... ...
풍력발전 - 그 실태와 원리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중공 일본 등이 풍력발전에 필요한 입지(立地) 조사, 터빈설계등을 하고 있는데 이들
나라
에서는 워낙 에너지 값이 비싸 풍력발전에 대단한 관심을 쏟고 있다. 미식 축구장 크기의 바람개비풍력발전의 원리나 시설은 간단하다. 송전탑같은 거대한 탑위에 바람개비를 달아 놓고 바람에 의해 ... ...
세계를 변화시키는 거대 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들이 현재 각별히 제창하고 있는 바로서 달
나라
대학(Lunar university)이라는 것이 있읍니다. 달에 인간이 상주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어 각국의 젊은이들이 함께 공부하고 연구해 나간다는 구상이죠. 21세기 전반부에는 우리는 달에 이주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
지구촌의 사람들 인구추세, 사망률 그리고 삶의 질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처음의 하루 이틀은 무엇을 할까 망서리며 귀중한 시간을 허비해 버린다. 가난한
나라
의 사람들은 돈이 없어서 여가를 활용하지 못하는 수가 많다. '페루'사람들을 보면 여가를 그냥 빈둥거리면서 보내거나 길거리에서 잡담하며 보내는 예가 많다. 이렇게 불가피하게 여가를 소모하는 것을 보면 ... ...
어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그것들이 멸종되고 우리
나라
에서만 살아남은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
에는 크고 작은 많은 섬들이 있어서 남한에만도 3천 이상이나 된다. 그런데 섬에도 민물고기가 살고 있다. 현재까지 필자는 59개 섬에서 49종의 담수어를 찾아냈다. 앞으로 정밀한 조사를 실시한다면 1백개 내외의 ... ...
한국의 여성과학자들 기지개 켜고 일어서는 중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한국화학연구소 오세화박사여성의 전문직으로 과학자가 최고첨단기술로서 최근 우리
나라
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는 정밀화학. 오세화 박사(43세)는 이 정밀화학 분야에서 선단을 달리는 중년 여성과학자이다. "최근에는 1년 6개월 만에 폴리에스터 섬유의 형광염료를 기초원료에서 제품에 ... ...
서울의 대기오염을 살핀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오염도는 매우 낮기 때문에 평균값은 환경기준치 이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 우리
나라
환경기준에는 연평균기준 뿐 아니라 8시간 또는 24시간 평균의 기준치가 있다. 연간 이 기준을 초과하는 횟수가 어느 정도인지는 거의 발표가 안된 것으로 생각된다.이제는 이와 같은 오염문제를 담당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