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플라스미드가 대량으로 복제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두 선형 플라스미드가 만나 원형의
새로운
플라스미드를 만들 확률은 낮다. 제한효소 처리로 선형이 된 플라스미드의 양 끝이 다시 만나 DNA연결효소의 작용으로 다시 원형으로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연구자들은 재조합 플라스미드가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때 3학년 수학을 미리 좀 봐두는 것이 좋아. 이과를 지망한다면 더욱 열심히 해야지.”
새로운
학년으로 올라가기 전 겨울방학은 어느 학년에서나 중요하다. 되도록 다음 학년의 내용을 미리 살펴보면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1년만 자신의 인생을 진지하게 생각하며 살아봐. 관심있는 분야의 책도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통해 다시 직접 확인하는 것도 연구활동입니다. 다양한 관점에서 조작변인을 찾아
새로운
연구를 해 봅시다.밤늦게까지 실험을 하고 과학실 문을 잠그는 학생들은 한껏 들뜨고 흥분한 목소리로 정말 탐구가 힘들었지만 무척 뿌듯하다고 했습니다. 그 때 그 뿌듯해하는 얼굴과 표정은 글로 다 표현할 ... ...
How the Concept of Invention Change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In the Age of Steve Jobs, it’s all about perfecting the final product. No one cares the inventor who had the idea in the first place. Let’s take a look at some stories of how we came to re-invent the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특별한 목적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서서히 늘어가는 다른 인류의 자취를 피해
새로운
땅으로 향했다. 이런 과정은 태평양 섬 구석구석에 발자국을 남기며 1500년 전까지 이어졌다. 이들이 목숨을 건 항해를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그만큼 인구 증가에 따른 부담이 컸음을 말해 준다. 하지만 이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그 오랜 시간 동안 땅을 밟아보지 못하고 좁은 우주선 안에서 생활한 이주민들에게
새로운
집의 따뜻함을 느끼게 해주기 위해서였다.오랫동안 우주여행을 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긴다. 외부에서 자원을 공급받을 수 없으니 물과 공기, 노폐물 등을 최대한 재활용해야 한다. 무중력 상태의 좁은 ... ...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지는 옷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소재는 햇볕에 널어 두면 스스로 세균이나 얼룩을 없애고 깨끗해진다.연구진이 발표한
새로운
섬유는 자외선만이 아니라 가시광선에도 반응한다. 기존에 개발된 ‘자가 세척 섬유’는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하며 태양광 중 극히 일부분인 자외선만을 이용한다. 이산화티타늄이 빛을 받으면 ... ...
산더미 같은 데이터에서 보물 캔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등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데이터 속에서 서로 연관 관계가 있는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새로운
알고리듬이 개발됐다.데이비드 레셰프 미국 MIT 컴퓨터과학과 교수팀은 복잡한 데이터 중에서 항목을 찾아낸 뒤, 서로 상관관계를 이루는 데이터 짝을 추려 모아 순위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상관관계를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예정이다.나노 밧줄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팀은 기존 나노 소재를 꼬아
새로운
‘나노 밧줄’을 만들었다. 밧줄의 지름은 600nm 정도이고, 단백질인 ‘콜라겐’의 모양을 흉내 냈다.나노 의약품얼키 루스라티 UC산타바바라 의대 교수팀은 심혈관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나노 의약품을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쓸 수 있다. 안면마비 환자에게 웃음을 찾아줄 수 있는 기술인 것이다.“우리가
새로운
형태의 로봇을 만드는 이유는 여기 있습니다. 로봇을 만들 때마다 우리 생활에 도움이 되는 기술이 새로 나오기 때문이죠. 앞으로도 계속 이런 로봇을 만들 생각입니다.”[사진 속 물고기 로봇의 꼬리지느러미는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