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공통 조상을 찾아내는 방정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인간과 침팬지가 유전적으 로 99% 이상 비슷하다는 사실도, 조류와 포유류가 어떤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나왔는지도 이를 통해 계산해냈습니다. 기무라의 방정식은 수학과 생물학의 융합분야인 ‘수리생물학’의 토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 ...
- 큰빗이끼벌레, 너 정말 억울하니?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를 부인하고 있다. 큰빗이끼벌레는 가을에 수온이 내려가면 씨앗처럼 흩어졌다가 15℃ 이상으로 높아지면 다시 출현한다. 내년 여름, 그리고 내후년 여름, 두고두고 지켜볼 문제다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초파리 돌연변이를 실험할 때 처음 200개에서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거기서 멈춘다. 그 이상 해봤자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지도교수도 학생들에게 습관처럼 200개까지 해봤냐고 묻곤 했다.처음에는 벤저와 코노프카의 결과를 아무도 믿지 않았다. 스승인 델브뤽조차 ... ...
- INTRO - 거대로봇과 새떼로봇이 싸운다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다음 번 출몰 전까지, 그러니까 늦어도 3개월 안에 반드시 개발하라고 주문했다.“전 더 이상 아무 생각도 안 떠오릅니다. 데슬레이터 가 무슨 파리 모기인 줄 압니까. 3개월 안에 때려잡으 라니요.” 연민영 박사가 시큰둥하게 말했다. “파리나 모 기? 아 그래. 정말 그러면 되겠네. 인류에게는 아직 ... ...
- 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계산할 때 태양뿐 아니라 달도 고려해야 한다.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변수가 세 개 이상일 때 행성의 궤도는 어떻게 되는가’이다.이를 ‘3체 문제’라고 하는데, 뉴턴 이후 수백 년 동안 수많은 수학자들이 도전했다 실패한 난제 중의 난제다. 샤를-유진 들로네라는 수학자는 태양 - 지구 - 달 계를 ...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영화 상영은 8월 19일 오후 5 시 30분부터 코엑스 3층 전시장 D홀에서 진행되고, 고등학생 이상 신청할 수 있다. 2014 서울 세계수학자대회 홈페이지에서 사전신청을 받고 있으며 참가비는 무료. 이창호 VS 수학자, 누가 이길까?수학을 잘 하면 바둑도 잘 할까. 대회 중반인 8월 19일 오후 3시부터 코엑스 ... ...
- 야구공 뇌는 어떻게 칠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K 흥미롭게도, 저런 순간적인 상황에서도 감각 정보보다 경험이 중요하답니다. 이상훈 교수와 손한샘 연구원이 2012년 10월 신경생리학저널에 발표한 내용을 볼까요. 물체를 추적하는 실험을 했어요. 예를 들어 야생에서 사냥을 하는데 도망치던 사슴이 바위 뒤로 숨으면 ‘이때쯤 나오겠다’하고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인간에게 해로운 부분만 방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랫동안 사용해온 살충제는 더 이상 답이 아니다. 모기는 끊임없이 내성을 키워왔다. 그 결과 살충제는 오히려 생태계를 파괴하고, 환경호르몬의 주범으로 낙인 찍히고 있다. 우리나라는 도심에 광범위하게 조성된 인공 구조물과 정화조, 농촌에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점검·수리했으며 1주에 한 번은 우주선 밖에 나가 우주 유영을 하며 외부 선체의 이상 유무를 확인했다. 또 뼈와 근육 손실을 방지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매일 2시간 동안 운동을 했다. 화성착륙과 착륙 후의 활동, 비상사태에 대비한 훈련도 잊지 않았다. 즐거운 식사와 지구에 있는 가족과의 ...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쥐에 넣고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했다. 2~4주가 지나자 방광에서 신경세포가 10배 이상 재생돼 손상부위를 회복시켰다. 재미있는 점은 재생된 신경세포가 바깥에서 넣어준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게 아니라는 사실이었다. 처음 넣어준 줄기세포는 곧 사그라들고, 대신 주변에서 돌아다니던 ... ...
이전4344354364374384394404414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