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d라이브러리
"
진행
"(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실력은 높지만 수학에 대한 호감도는 낮다. 잘하지만 좋아하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수학의 재미를 모르기 때문에 나오는 현상이다. 수학일기는 수학으로 말하고 표현하면서 수학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좋은 도구다. 수학을 즐기다 보면 실력도 자연스럽게 늘게 된다.일기 ... ...
PART 1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공포영화의 완성도를 낮추는 요소는 무엇일까요? 바로 관객이 생각한 대로 영화가
진행
되는 거예요. 설마 저 사람은 아니겠지 했는데 반전 없이 그 사람이 살인마이거나, 이쯤에 귀신이 등장할 거야 했는데 진짜 나오는 거죠.그래서 연구팀은 이런 진부한 요소(sp)가 조금이라도 들어가면 가차 없이 ... ...
레이저계의 블루오션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창의력이 빚어낸 성과다.연구실에서 각자가 맡은 연구는 자유로운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진행
된다. 자율적인 연구를 존중하되, 매주 세미나를 통해 서로의 연구 성과를 확인하고 보완할 사항이나 더 좋은 아이디어를 교환하며 브레인 스토밍한다. 성공적인 대학원 생활에서 개인의 연구 자질과 ... ...
앎의 기쁨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어떤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을까요? 수학여행 과정에서 연구주제를 찾아 연구활동을
진행
해 봅시다. ‘송광사의 종루는 어떻게 균형을 유지하고 있을까’, ‘탑사의 천지탑은 어떻게 쌓을수 있었을까’, ‘거미는 어떻게 거미줄을 칠까’ 등 여행 중 생긴 여러 가지 의문 속에서 주제를 찾아 해결해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의 경우 1회전과 2회전 모두 승자는 승자끼리, 패자는 패자끼리 맞붙는 시스템으로
진행
됐다. 제2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열심히 싸워 1·2위 결정전까지 올라간 우리나라 선수들은 ‘패자부활전’ 시스템 때문에 5번이나 한·일전을 치렀다. 결국 일본에 우승컵을 내주게 돼 지금까지도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원인이 되기도 한다. 국제연합환경계획에 따르면 1985년 이후 매년 6만㎢씩 사막화가
진행
되고 있다. 그 결과 1980년 지구 육지의 19%였던 건조지역이 지난해 38%로 늘었다. 매년 축구장의 7800배 만큼의 땅이 메말라 가고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미래에 사막과 같은 환경에서는 어떤 도시를 지어야 할까? ... ...
동문과 관찰지도교사의 힘 청주교대 과학 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과학영재교육원에서는 여름과 겨울, 각각 3박 4일과 5박 6일의 집중교육이
진행
된다. 모든 학생이 기숙사에서 함께 지내며 아름다운 추억을 남길 수 있는 기회다. 집중교육 첫날에는 조별로 함께 해결해야 하는 공동탐구문제를 준다. 공식 일정 중간의 쉬는 시간마다 여기저기 조별로 머리를 맞대고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종이 속까지 털어내기도 한다. 이런 작업은 모두 눈으로 꼼꼼히 살펴보면서 손으로
진행
하기 때문에 대단한 인내심을 필요로 한다.몇 번이고 계속해서 작업하다 보면 고문서나 작품의 본래 색깔이 한층 더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문서는 건식클리닝으로 끝내는 경우가 많다. 고문서는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아프리카에 식수를 제공하기 위해 극지의 빙산을 적도 부근까지 끌어오는 시뮬레이션을
진행
하고 있다.빙산을 녹인다고 하면 사람들은 북극곰 같은 극지 생물이 서식하는 터전이 사라지는 게 아니냐고 우려한다. 그런데 빙산은 거대한 빙하에서 떨어져 나와 버려지는 부분이다. 극지에 있는 육상 ... ...
스트레스가 더 좋은 부모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거듭하며 기른 청둥제비를 관찰한 결과다. 이전 연구까지 합치면 3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진행
됐다. 모니어 박사는 “이 연구는 환경, 천적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을 배제한 연구”라고 한계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과학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온라인판 6월 1일자에 실렸다 ... ...
이전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다음
공지사항